d라이브러리









4. 쇼트트랙 계주처럼 밀어주기

지구궤도에서 무중력 극복해야

결승전 장소는 지구 궤도에 떠있는 우주축구장. 무중력 공간이라 선수들은 허공에 뜬 채 버둥거린다. 경기장 벽에 붙어 있던 한국 선수가 재빨리 동료 공격수를 밀어주고 이 공격수는 강력한 슛을 날린다. 골! 제1회 우주월드컵 결승골이다.

우주월드컵조직위원회는 지구 궤도에 있는 우주정거장을 개조해 우주축구장을 만들었다. 길쭉한 원통 모양에 사람이 숨쉴 수 있는 공기를 채운 경기장이다. 조직위는 우주경기장 권위자의 자문을 받아 지름 60m, 길이 100m 규모로 경기장을 만든 뒤 230톤의 공기를 집어넣었다.

무중력 공간에서는 몸을 가누기가 힘들다. 마치 물 속에서 움직이는 것과 비슷하다. 조직위는 결승전에서 3차원 축구를 보여주기 위해 지구 궤도를 택했지만, 경기의 박진감이 지구에서보다 떨어질까 봐 우주축구장을 약간 작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어떤 선수는 공을 차려고 발을 뻗었다가 회전력을 받아 제자리에서 몇 바퀴 빙빙 돌고, 다른 선수는 상대선수와 자리를 다투다가 서로 부딪친 다음 상당히 멀리 튕겨 나간다. 또 애써 공을 차는데는 성공했지만 반발력으로 뒤로 밀려나는 선수도 보인다.

한국팀은 경기장 벽면을 이용하는 전술을 동원했다. 쇼트트랙 계주경기처럼 경기장 바닥이나 벽에 붙어 있던 선수들이 동료 선수를 밀어주는 방식이다. 또 비밀리에 수영장에서 수중 훈련을 하면서 ‘무중력 가위차기’를 개발했다. 오른발로 공을 찰 때 그만큼 왼발을 뒤로 향하는 새로운 킥이다.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해 무중력 상태에서 몸이 회전하는 현상을 막으며 공을 차는 방식이다. 우주를 알고 대비한 게 한국팀의 우승비결이었다.
 

무중력 공간에서는 몸을 가누기가 힘들다. 마치 물 속에서 움직이는 것과 비슷하다.


압박축구가 유리한 이유

압박축구는 상대선수가 공을 마음대로 다룰 수 없도록 좁은 공간에서 여러 명이 동시에 방어하는 전술이다. 가로 100m, 세로 64m인 축구장에서 두 팀의 선수가 골고루 섞여 있고 상대선수 한 명이 공을 잡은 경우 우리 팀 선수가 가장 가까이 있다고 가정하자.

우리 선수가 공을 막으러 가는 시간은 선수들 간 평균거리를 우리 선수의 속력으로 나눈 것이다. 선수들 간의 평균거리는 $\sqrt{(100m×64m)/(3.14×2×11)}$, 즉 9.62m이다. 우리 선수가 초속 4m로 달려들면 공을 가진 상대선수가 공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평균 여유시간은 2.4초다.

만일 우리 팀 선수들이 경기장 절반을 사용하면서 오프사이드 전술을 활용해 초속 5m로 압박한다면 상대선수가 공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은 1.4초밖에 되지 않는다. 압박축구는 개인기가 좋은 팀을 만났을 때 상대선수가 공을 오래 잡고 있지 못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진 셈이다. 물론 엄청난 체력이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기상천외한 우주월드컵
1. 중력 이기며 공중전으로 승부
2. 거꾸로 휘는 바나나킥
3. 100m 달리는데 33초 이상 걸려야
4. 쇼트트랙 계주처럼 밀어주기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

2006년 06월 과학동아 정보

  • 이충환 기자

🎓️ 진로 추천

  • 항공·우주공학
  • 물리학
  • 체육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