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이면 어김없이 전 세계 과학계가 금빛으로 물든다. 생리의학, 물리학, 화학 분야에서 인류에게 지대하게 공헌한 업적을 인정받은 과학자들에게 주는 노벨 과학상 덕분이다. 매년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한림원)가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가 생리의학상을 심사한다 ...
공원은 나처럼 다양한 생물이 사는 곳이기도 해. 울창한 산으로 이루어진 공원뿐만 아니라 도심 한가운데 있는 공원에도 많은 생물이 살고 있지. 아파트 숲은 작은 국립공원!도시공원에는 식물, 곤충, 새 등 여러 생물 종이 작은 생태계를 이루며 살고 있어요. 2010년 서울시의 조사 결과 청계산, ...
야생의 땅: 듀랑고넥슨이 올해 1월 출시한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다. 기차를 타고 이동하던 캐릭터가 시공간이 뒤틀리는 사고를 겪은 뒤 무인도에 도착한다. 이 야생의 세계에서 유저는 동물을 사냥하고 농사를 짓고 건물을 세우면서 문명사회를 일군다. ‘유니티 엔진’ 으로 만들었다. 여 ...
한국형 중이온가속기의 이름은 ‘라온(RAON·Rare isotope Accelerator complex for ON-lineexperiment)’이다. 풀이하자면 중이온 빔 가속부터 희귀동위원소 생성, 이를 이용한 실험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가속기 시설이라는 의미다. 동시에 라온은 ‘즐거운’을 뜻하는 순우리말 단어이기도 하다. 라온에는 실험 ...
번개처럼 움직이며 생물을 찾아라!‘바이오블리츠’는 지정된 장소에 모인 사람들이 총 24시간 동안 그 지역의 생물을 모두 조사하는 활동이에요. 1996년 미국 지리 조사국(USGS)과 국립공원(NPS)의 활동을 시작으로, 매년 전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 ...
편집자주 - 이번 화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돌이켜 보면, 지옥문을 열어젖힌 책임은 전적으로 내게 있었다. 공중파 뉴스에 나갈 인터뷰를 그렇게까지 호들갑스럽게 해버린 건 그 누구도 아닌 내 의지에 따른 일이었으니까. 물론 남부 지방의 갑 ...
지난 화에서 윌리엄 해밀턴이 게임 이론을 도입해 성비의 진화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살펴봤다. 이를 길잡이로 삼아 조지 프라이스는 사슴뿔의 진화를 설명해 냈고, 이후 존 메이나드 스미스와 프라이스는 진화 게임 이론의 시대를 연 기념비적 논문인 ‘동물 갈등의 논리’를 발표했다.리처드 도 ...
고대인의 DNA에서 우리 조상을 어떻게 찾을까요? 바이오인포매틱스 연구자들이 해결합니다. 바이오인포매틱스는 생명현상을 수학, 논리학, 전산학을 이용해 파악하는 학문입니다. 수학 알고리듬이 입력된 슈퍼컴퓨터가 수천 개의 게놈 데이터를 동시에 계산할 수 있어 데이터 속에 숨은 정보를 찾 ...
12월 17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모으는 크라우드펀딩 웹사이트 ‘쉐어앤캐어’에 ‘수현이가 편히 걸을 수만 있다면’이란 제목의 글이 올라왔어요. 이 글은 등록된 지 5일만에 공유 1079개, 좋아요 1만 420개를 받으며 목표 모금액 320만 원을 채웠답니다. 수현이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