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류역은 인공어초 설계에 아주 중요한 요소예요. 물고기가 헤엄칠 때 힘이 적게 들고 해조류 포자를 주변 암반에 안착시키거든요. 후류역을 정확하게 알아야 적절한 간격으로 인공어초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단일어초 하나의 후류 길이가 10m인데 간격을 30m로 뒀다면 포자가 암반까지 ...
그래서 잼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탕을 많이 넣어야 합니다. 한편 미역이나 다시마 등 해조류에는 메톡실기가 50% 이하로 적은 저메톡실펙틴(low methoxyl pectin)이 들어 있습니다. 이 펙틴은 고메톡실펙틴에 비해 에스테르결합이 적기 때문에, 가열하지 않고 칼슘이나 마그네슘 같은 2가 양이온(Ca2+, Mg2+)을 ...
물개, 지의류 등 육상 식생과 기지 앞 바다 마리안 소만의 조간대와 바닷속에 서식하는 해조류, 저서동물에 대한 기초 조사에 착수하며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본격적인 해양생물연구는 1990년대 시작됐는데, 특히 기지 앞바다에 많이 살고 있는 ‘남극큰띠조개(Laternula elliptica)’의 얼음바다 속 생존 ...
웅덩이가 움푹!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모래에서 알을 낳거나 겨울잠을 자요. 또 해조류나 새우, 산호 같은 동물은 모래에서 먹이활동을 하지요. 그래서 무분별하게 모래를 채취하면 바다 생태계가 파괴돼요. 특히 모래를 퍼올린 자리에 살고 있었던 생물은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답니다. 문제는 또 ...
수술 재료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에도 활용할 수 있답니다.한편, 바다에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해 만든 종이도 등장 했어요. 충남대학교 서영범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나 김 등의 ‘홍조류’에서 홍조 섬유를 얻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답니다. 홍조류는 바다 어디에서든지 자랄 수 있고, 두 ...
신맛, 짠맛에 이어 다섯 번째 맛으로 인정받은 감칠맛이다. 감칠맛은 고기나 생선, 버섯, 해조류 등 재료 자체에서 은은하게 우러나오는 맛을 가리킨다. 일본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 박사는 일찍이 1907년 감칠맛을 내는 분자인 ‘글루탐산나트륨(MonoSodium Glutamate)’을 발견해 학계에 보고 했다. 소위 ...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식용, 약용으로 쓰이는 국화과 꽃의 추출물, 해조류에 들어있는 마이코스포린유사아미노산(MAAs) 성분 등을 천연 자외선차단제 후보 물질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Step 3. 지속성자외선차단제는 두 시간에 한 번씩 덧발라야 합니다. (지키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요 ...
물 몇 방울만이라도…! 상부 조간대지구상에 수많은 조간대는 각기 환경이 다르긴 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해안선을 기준으로 어느 높이인지에 따라 살고 있는 생물 종이 다르다는 것 이지요. 바닷물이 잘 닿지 않는 상부, 규칙적으로 물이 차고 빠지는 중부,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에 잠 ...
양파망에 넣어 인공어초에 매다는 ‘모조 주머니 시설’을 설치하기도 해요. 또 해조류의 포자를 퍼뜨린 그물망을 바다 속 암반에 묶어 두는 ‘그물망 채묘’ 등의 방법이 있지요.최 교수는 “조간대의 생태계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개발 등 인공적인 변화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주의 깊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