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문이다. 단 전도체 밖에서 전자를 볼 확률은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급격히 감소한다. 이 경우 전자는 표면이라는 경계에 터널을 파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흔히 '터널 현상'이라고 부른다.터널 현상을 처음 실험적으로 입증한 사람은 1960년대 초 '제네랄 일렉트릭사'의 ...
라는 문자열을 그 바로 앞에 결합시키는 함수이다. 문자열 처리에 자주 사용되는 내장함수는 다음과 같다.LEN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갯수(빈칸도 문자로 취급한다)LEFT$ ←문자열을 왼쪽에서 부분적으로 취한다.RIGHT$←문자열을 중간에서 부분적으로 취한다.MID$ ←문자열을 오른쪽에서 ...
0.25)=20이지만 매개변수가 음수일 경우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즉 INT(-6.3)=-7인 것이다. 삼각함수 기능에 대한 매개변수는 라디안(호도)으로 표시해야 함을 주의해야한다. 각도를 라디안으로 바꾸려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아래 공식을 적용한다(보기2). 1도=$\frac{π}{180}$라디안 ∴x도 = x×$\frac{π}{180} ...
함수로서 정확히 주어져 있다. 그런데 새로운 이론에 의하면 입자의 위치가 시간의 함수로서 정확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어떤점에 있을 확률만이 주어진다는 것이 되겠다. 이러한 사정을 새로운 이론의 개척자인 20세기 '하이젠 베르크'와 고전을 대표하는 17세기의 뉴튼 사이의 가상적인 대화로 ...
더 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함수가 다양하다. (표 1)은 많이 사용되는 BASIC의 내장 함수들이다. 계산이 불가능한 데이타, 문자 '데이타'라는 용어는 여러의미를 갖고 있지만 컴퓨터 언어에서의 '데이타'는 한정된 의미를 갖는다. 즉 컴퓨터로 처리할 대상의 기본 요소를 말한다. 예를들어 학교에서 ...
방정식을 풀어서 '드시터(de Sitter) 우주 모형'을 도입했는데 이것의 특징은 지수 함수적 팽창이다. '스타로빈스키'(Starobinsky)는 팽창의 개념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플랑크 시간(원시의 팽창)에 양자 중력 변동으로부터 그 근방에 '드시터' 상태로부터 우주가 형성되었다고 가정했다.이를 좀더 ...
또다른 LISP의 문제점은 LISP의 수행속도가 느리다는 점이다. 이것은 왜냐하면 LISP가 함수언어이므로 현재의 '폰 노이만'(Von Neumann)컴퓨터구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LISP를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LISP전용기계로서 Symbolics나 Lambda, Explorer, Xerox 등과 같은 ...
식은 실험치와 너무나 잘맞고 있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사실상 e$\frac{hν}{kT}$라는 함수는 hν가 kT보다 굉장히 작을 때는 (1+$\frac{hν}{kT}$)으로 되고 따라서 플랑크의 공식은 E(v)=$\frac{8πν²}{C³}$ $\frac{hν}{{e}^{\frac{hν}{kT}}-1}$ ≅ $\frac{8πν²}{C³}$ $\frac{hν}{(1+\frac{hν}{kT})-1}$ = $\frac{8πν²}{C³}$kT가 되어 ...
에 의하여 지금부터 75년전인 1911년에 발견되었다.저온에서 수은의 전기저항을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던 중 '온네스'는 헬륨의 액화온도인 4.2˚K(-269℃) 근처에서 수은의 전기 저항이 갑자기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고 이 현상을 초전도현상이라고 부른 것이다.'온네스'는 수은 외에 납, 주석 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