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과도 유사하다고 해서 ‘캣테일(고양이 꼬리)’이란 이름을 붙였다(고양이를 키우는 천문학자로서 이 이름이 아주 마음에 든다). 나선팔이 가리키는 곳에 이웃 은하가 있다? 새로 발견한 가스 구름이 진정 더 큰 나선팔의 일부라면, 이 거대한 나선팔은 대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수억 년 ...
너머 깜깜한 공간을 향한 인류의 오랜 호기심은 망원경의 역사에 드러난다. 1610년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처음 목성의 위성 네 개를 발견한 후, 400년 동안 천체 관측용 지상 망원경의 지름은 점점 커졌다. 거울이나 접시 안테나의 지름이 클수록 많은 빛을 모아 천체를 더 자세히 ...
이그노벨상 수상 목록을 읽다 보면 ‘이렇게 중요한 연구가 왜 노벨상이 아니라 이그노벨상을 받았지?’라고 생각하게 되는 연구를 만난다.2022년 경제학상을 받은 ‘성공하려면 운이 중요할까, 재능이 중요할까?’를 밝힌 연구가 그렇다. 알고보니 이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는 2010년에도 다른 연구 ...
이룬다. 사람은 연애를 하고 사랑을 나누며 진짜 성격이나 가치를 드러낸다고들 한다. 천문학자의 관점도 비슷하다. 중력을 통해 주변의 다른 천체와 우주적으로 교감하는 천체들에서는 고립된 별과 은하보다 많은 정보를 캐낼 수 있다. 다른 은하와 엮여서 움직이는 궤도를 통해 각 은하의 질량을 ...
이런 아름다운 교통체증이 왜 시작됐는지 정작 그 원인은 여전히 미스터리다. 많은 천문학자들은 거대한 은하 주변을 맴도는 작은 은하를 원인으로 지목하곤 한다. 작은 은하의 중력으로 인해 큰 은하 속 별들의 궤도가 미세하게 요동치고, 그 결과 은하 원반을 둥글게 휘감는 밀도파가 형성될 수 ...
가혹한 과정이었던 것이다. 우주의 진리라는 거대한 바다의 중심을 향해 최근까지 천문학자들은 은하들이 오직 다른 은하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통해서만 자신이 갖고 있던 가스 물질을 빼앗기고 생명력을 잃는다고 생각했다. 밀도가 낮은 은하단 외곽을 홀로 떠도는 은하들은 별다른 상호작용을 ...
벌어진다면 이런 느낌일까’ 싶을 정도로 이질적인 공간이었다. 한쪽 벽에는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강연 영상이 재생되고 있었다. 기자가 방문한 곳은 콘텐츠 기업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가 준비한 전시 ‘SPACE EXPEDITION: 스페이스 익스페디션’이다. 이번 전시는 스페이스몬스터컨텐츠가 ...
해와 같이 밤하늘을 올려다보던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 3개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갈릴레오는 이 사실을 1610년 1월 7일 편지에 남겼어요. 목성의 위성들이 처음으로 발견된 순간이었죠. 이후 1월 13일, 목성에서 위성을 하나 더 ...
구성원에서 수학자의 수는 많지 않지만, 수학은 DART 임무에 매우 중요해요. 지질학자, 천문학자, 공학자 모두 뛰어난 수학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고 엄청나게 많은 수학 계산을 수행했거든요. 수학의 본질은 창의성 Q ─ 원래 소속돼 있는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에서는 어떤 일을 하나요? 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