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여긴가 보다!”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악어와 해적 조심’이라고 적힌 표지판을 지나 작은 섬으로 걸어 들어갔어요. 오늘의 목적지는 네버랜드! 네버랜드의 주인공인 피터 팬이 이 먼 곳까지 두 탐정 콤비를 부른 것이죠. 저 멀리서 피터 팬이 날아오는 모습을 보고 꿀록 탐정이 손을 ...
“기후변화지표종인 나비를 꾸준히 관심 가져 주세요!”추헌철(서울특별시동부공원녹지사업소 공원여가과 실무관) 올해 지사탐에는 새로운 탐사종으로 나비가 추가되었어요! 많은 지사탐 대원들이 활발하게 탐사 기록을 올려 주었지요. 첫해부터 인기를 한몸에 받은 나비 탐사! 이 탐사를 이 ...
연구가 더 필요해요.혹은 대변을 다시 먹는다면요? 201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지구과학과의 크리스토퍼 하우스 교수팀은 혐기성 미생물로 배설물을 분해하는 실험을 했어요.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이에요. 이 미생물이 호흡 과정에서 배설물을 분해해 ...
우주의 연주, 들어보세요!“삐-비비비! 삐삐삐삐삡~”차가 후진할 때 나는 이 소리는 차량 뒤편에 보이지 않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소리의 빈도나 높이로 표현해 운전자에게 충돌 위험을 알려요. 이렇게 데이터를 소리로 바꿔주는 기술을 ‘소리화’라고 하지요.과학자들과 예술가들은 소리화 기술 ...
● 이달의 퀴즈지금은 천체물리학 전성시대!매년 10월 초에 발표되는 노벨상! 노벨상은 인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문학, 화학, 물리학, 생리 의학, 평화, 경제학 등 6개 분야에 대해 수상이 이뤄져요.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영국 옥스퍼드 ...
1957년 11월 3일, 소련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이곳에서 인류의 두 번째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2호가 발사되었어요. 스푸트니크 2호에는 다양한 측정 장치와 함께 암컷 강아지가 한 마리 타고 있었어요.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돈 동물 ‘라이카’였지요.과학자들은 194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사람을 ...
“어과동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김정 편집장이에요!”10월 8일 저녁, 김정 편집장님의 우렁찬 목소리가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해 울려 퍼졌어요.만화 ‘오즈의 연금술사’ 속 도로시를 코스프레한 편집장님의 인사와 함께 ‘어린이과학동아 16주년 온라인 팬파티’가 시작된 거 ...
해마(海馬, hippocampus) 뇌 속에 수생생물 해마와 꼭 닮은 영역이 있어요. 모습이 비슷한 탓에 이름도 해마라고 지어졌답니다. 폭 1cm, 길이 5cm의 해마는 뇌 안쪽 깊숙한 곳에 있어요. 해마는 비록 작은 크기지만,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요. 지식을 학습하고,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정보를 기억하 ...
다음 순서는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한 수상자들! 빛도 빨아들이는 블랙홀을 직접 볼 수는 없었을 텐데, 블랙홀을 어떻게 관측했을까요? 블랙홀은 못 보지만, 블랙홀 주위 별은 본다! 안드레아 게즈 교수와 라인하르트 겐첼 소장은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팀을 이끌어 우리은하 중심의 거대질량 블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