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적들은 대규모의 실험장비를 필요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중성미자를 발견(2002)하고,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성과(2015) 외에도 인공위성을 발사해서 우주 엑스선원(2002)과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2006), 우주 가속팽창(2011) 등을 확인한 것 등이다. 그리고 대부분 물리학 분야에 ...
등을 설계했다. 이후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로 자리를 옮겨 뮤온가속기와 중성미자가속기를 개발하고 빔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참여했다. 국내로 돌아온 뒤에는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중이온가속기 설계 및 개발에 힘을 더했다. 현재 국제 ...
연습이 됐다”면서 “이제 중성자별 쌍성 병합이 일어나기만 하면 된다”고 했다. 중성미자 관측소는 중력파 관측소에 비해 협업이 제한적이다. 관측범위가 짧기 때문이다. 초신성 폭발의 경우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까지밖에 관측이 안된다. 이 범위에서 초신성이 터질 확률은 수십 년에 ...
천문학’의 문을 여는 사건으로 평가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별에서 오는 중력파와 중성미자, 빛을 모두 관측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이제 지구상에서 인간이 만든 기계로 별의 내부와 외부를 다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초기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도 빼놓을 수 없다. 빅뱅으로부터 ...
하지만 이는 현재 우주의 비대칭성을 설명하기에 는 그 차이가 너무 작다. 물리학자들은 중성미자를 관측해 ‘CP대칭성’이 깨지는 현상을 관측했고,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다(CP대칭성에 대한 내용은 4파트 참고).3. 5%를 넘어, 26.8%를 찾아라미국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이 은하 ...
발표했다. 그밖에도 전세계 중성미자 검출기를 이용해 핵물질을 제조할 때 나오는 중성미자를 감시하자는 의견 등 원자력 안전에 입자물리학 기술을 응용하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스위스 CERN에 있는 월드와이드웹 서버.]표준모형의 ‘파생상품’ 가운데 가장 혁신적인 것은 ...
소위 뮤입자(뮤온)와 타우입자(타우온)로 불리는 입자들이다. 이들은 약력을 통해 중성미자라는 매우 가벼운 입자와 상호작용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표준모형은 쿼크와 경입자들(전자, 뮤입자, 타우입자와 중성미자)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잘 설명한 이론이다. 표준모형에 따르면 이들 ...
들어올 수 있는 입자는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뮤온 등 몇 가지뿐이다. 여기서 뮤온과 중성미자는 검출기에서 어떤 신호를 내는지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암흑물질이 내는 신호와 구분할 수 있다. 강 연구위원은 “오직 중력하고만 상호작용하는 윔프는 1년에 한두 번 정도 물질의 원자핵과 충돌할 ...
아주 약한 빛을 포착해 중성미자의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지요. 또 맥도널드 교수는 중성미자가 지구로 오면서 종류가 바뀐다는 사실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답니다.노벨 화학상 스스로 고치는 DNA!올해 노벨 화학상은 유전물질(DNA)의 복구 과정을 밝힌 과학자 3명이 받았어요. DNA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