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이미 익숙해진 초전도현상이나 초고속컴퓨터 등은 극한기술의 결과물이다. 극한기술은 이론과학 및 실험과학분야에서 선진국의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응용이 시작되었다. 그러다가 점차 산업체에 그 기술원리가 확산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제품생산, 신물질의 창조, 고도의 현상을 ...
고전 뉴턴니즘은 물론 세계론 우주론까지 뒤흔들어 놓은 금세기 최대의 발견, 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의 놀라운 영감에서부터 출발하는 특수상대성이론 일반상대성이론을 순서대로 차근차근 소개한다. 그림과 설명을 통해 이해하고 자신의 사색으로 점검하면 상대성이론의 기본개념은 쉽게 파악 ...
천문학을 전공했다든가 천문학자라고 자신을 소개하면 사람들의 반응은 대체로 이렇다. ‘귀한 학문을 했다’, ‘배고픈 학문을 했다’, ‘별볼일이 많겠군’ 등등. ‘먹고 살기도 힘든 세상에 하늘의 별이나 쳐다보고 살다니, 하늘만 쳐다보고 살면 돈이라도 떨어지나?’등의 비아냥을 받기도 일 ...
이중 퀘이사임이 밝혀졌다. 두 개의 퀘이사가 아주 근접해 있었던 것이다. 자연히 이것도 중력렌즈의 또다른 예로 추측되었다.1987년 아리조나 다중반사망원경에서 일하던 천문학자들은 이 근접하게 위치한 퀘이사들의 각각으로부터 오는 빛을 분석했다. 최초로 그 빛이 완전히 똑같지는 않음이 ...
"성간물질의 파악, 신비스러운 천체인 펄사 퀘이사의 발견, 그리고 외계의 고등문명체 탐사까지 가능하게 할 전파천문학은 광학과 더불어 천문학의 쌍두마차이다."밤하늘에 반짝이는 별, 은가루를 뿌려 놓은 듯이 뿌옇게 하늘을 가로지르는 은하수, 별과 별사이 성간공간에 흩어져 있는 가스와 먼 ...
과학기술의 발달로 고도로 정밀한 실험과 관찰이 가능하게 되면서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은 착착 검증되고 있다. 나아가 우주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상대론은 양자론과 결합해 새로운 양자 중력이론으로 발전하고 있다. 자연을 가장 단순하고 조화롭게 설명하려던 아인슈타인의 꿈은 언제 이루 ...
그렇다면 어떻게 하나의 '퀘이사'가 두개의 상(像)을 만들어낼수 있을까? 그 답은 '중력렌즈'로 얻어진다. 강력한 중력장을 갖는 엄청나게 큰 물체가 지구와 '퀘이사' 사이에 있다면,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퀘이사'에서 나온 빛이 구부러져 지구에서는 마치 두개의 '퀘이사'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
인간이 이용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은 근본적으로 태양에너지이다. 매년 5백조 배럴의 석유에 상당하는 에너지로 지구를 덥히는 태양에너지.그 활용 방법을 알아본다.지구상의 최대 에너지원1970년대 에너지 위기를 겪으면서 많은 사람들은 태양도 중요한 에너지원 또는 적어도 보충 에너지원이 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