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가 박사학위를 갖고 있으며 대학교수 중 10% 정도가 여자라고 한다. 또 중공의 경우는 중국과학원의 여러 연구기관에 종사하는 연구원 중 25%가 여자라고 하며, 헝가리와 폴란드의 경우에도 여성들이 각각 전체 연구원의 22%와 28%를 차지한다. 급증하는 내일의 여성과학자불과 한 세대의 근대과학의 ...
아니라 동물이름을 한자위주로 표기해 아쉬움이 크다. 그리고 분류의 방식도 '본초강목'(중국의 이시진 저,16세기)의 것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현생동물은 약 1백20만종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동물들의 종수가 이미 알려진 것보다도 ...
거둔 이유는 미국과 소련의 피눈물나는 경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도 일본도 그리고 중국도 뒤질새라 우주사업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일본도 우주왕복선을 자체개발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실정은 너무나도 한탄스럽다. 지구에 더 이상 살수가 없어서 남의 나라들이 우주대이민을 위해 ...
못하고 말았다. 그리고 실학사상이 일기 시작하여 다산(茶山)은 '경세유표'에서 중국의 앞선 기술을 흡수하여 국가발전의 새 기틀을 삼아야 한다고 건의하였지만 이 또한 일부 선각자의 주장으로 그치고 말았다. 이렇게 우리의 문화는 산업혁명 즉 '제2의 물결'을 감지하고 수용할 태세를 갖추지 ...
들은 시베리아쪽의 것과 동종이거나 근사아종(近似亞種)이 많은 반면, 그 이남은 중국의 화북(華北)지방과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세계적으로 3천2백여종의 젖먹이동물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1백여종 정도가 살고 있을 뿐이고, 특산종으로는 멧돼지 사향노루 노란목도리담비 등을 비롯해 산달 ...
차지하고 있는 일본이나 중국에 비하여 종류수가 많지 않지만 위치적으로는 일본이나 중국의 종류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종류들이 분포하고 있다. 양서강에는 도롱뇽목과 개구리목이 있으며, 전자에는 3종, 후자에는 11종이 있다. 도롱뇽중 네발가락도롱뇽은 한지성으로 함경북도에서만 발견되며 ...
곤충이 섞여 살게 돼 있다. 따라서 구북계가 많고 동양계가 적은 한국 곤충상은 중국 북부 및 시베리아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고, 일본것과는 부류에 따라서는 다소 거리가 있다. 1950년대까지 전세계에서 발표된 곤충의 종류수는 대략 69만종에 달하는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종류수는 약 ...
비롯,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인에게는 위암이 가장 많다. 조기검진과 세계 최고수준의 치료기술로 위암극복에 성공하고 있는 일본의 사정을 뉴 사이언티스트지의 보도로 알아본다.매년 9월달은 일본에서 '암퇴치의 달'이다. 큰도시는 물론 시골 구석구석까지 조기검진을 받자는 포스터가 나붙고 ...
정도로 줄어든다고 한다. 두루미는 20세기 초만 해도 소련의 동남부 시베리아(칸카호수), 중국 동북부(흑룡강 주변), 일본의 북해도 등지에서 많은 수가 번식하고 있었으나 인구팽창 산업화 오염 등으로 초습지들이 감소, 점점 줄어들고 있다.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두루미는 월동을 위해 시베리아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