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으로 경제, 경영을 공부하는 게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이다. 앞으로 100명 중의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Q. 청소년, 청년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기술을 다뤄야 넓은 분야로 나가는 시대다. 자신의 성향 파악 후 두려워 말고 엔지니어의 길로 과감히 들어오길 바란다 ...
인재 양성이 우선돼야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24개 대학, 이공계 분야 101개 전공학과가 모여 DSC 공유대학을 설립했다. DSC 공유대학에 입학하고 학기당 9학점 이상 이수한 학생에게는 200만 원 내외의 장학금이 지원되며, 4학기 과정을 이수하면 복수학위를 받게 된다. 협력 ...
진짜인지, 모작인지를 구별해낸다”고 했다. 미술을 ‘읽어내는’ 눈을 갖추는 것은 이공계 학생들에게 꽤나 유용한 자산이다. “복잡한 수식보다 개념을 전달하기에 더없이 좋은 방법은 그림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막 시작한 연구자 대부분은 자신의 머릿속에 두루뭉술하게 존재하는 ...
없었다. 과학이라는 말의 무게에 눌린 탓이었다. ‘우주의 향’을 만들자는 아이디어에 이공계 출신의 노 대표는 전형적인 이과생의 반응을 보였다. “우주는 진공상태라 향이 없지 않나요?”노 대표가 만든 정적도 잠시, 곧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왔다. ‘우주에서 추억하는 지구의 향’이란 ...
강렬한 현장 사진으로 전하는 ‘한 장의 기후위기’도 신설했습니다. 4 후반부에는 이공계 진로를 희망하는 분들을 위한 다양한 읽을거리를 준비했습니다. 새로 연재하는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는 개그로 소비되는 인터넷 ‘밈’을 다큐로 받아본 기획입니다. 코딩 기초를 배워보는 ...
학장은 “2022년부터는 ‘무학과제’를 40명 대상으로 일부 시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공계, 특히 공대에서 다양성을 확보하는 문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대 공대의 교수 318명 가운데 여성 교원은 17명이다. 5.3% 수준으로 아직 낮지만 최근 두 명이 추가되는 등 ...
수학을 가까이 두고 배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그래야 진로의 폭이 넓어지거든요. 이공계 진로에서 수학을 잘하지 않고서 갈 수 있는 곳은 별로 없어요. 수학을 공부하면 논리력을 키울 수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방정식을 세울 때 무엇을 미지수 x로 잡을지 정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전민 과학기술 인재화 이공계 인재 양성을 위한 북한의 노력은 남다르다. 전 국민의 이공계 지식을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공대생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전민 과학기술 인재화’를 국가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다. 북한의 대학 진학률은 10% 수준이다. 이에 2010년부터 김책공대를 시작으로 주요 ...
프로그래밍 지식을 반드시 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집자 주. 이번 달로 ‘이공계 잡터뷰’ 연재를 마칩니다. 읽어주신 독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