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정보와 백과사전, 또는 인쇄물들이 집안의 모니터로 나타나고 전자 기계에서 소설을 들려 주는 세상이 왔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아마 상업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도 직업을 잃게 될지도 모른다.미래를 생각해 보면 참으로 불안해 질 때도 있다. 그러나 내가 불안해 하지 않는 것은 컴퓨터를 ...
자연과학이란 어떤 것인지 알게되면서 흥미와 애착을 함께 느끼게 된다든지, 공상과학소설로 꿈과 가능성 사이를 헤엄치며 동기를 키우고 목표를 세우게 된다. 학교에서 배우는 딱딱한 내용과 암기위주의 시험준비에 겁을 먹지 않도록 해주며, 왜 과학이 그럴듯한 학문인지 과학철학, 과학사, ...
직계 조상이며 그들이 올두바이계곡의 석기제조자라고 믿어졌다. '아가다 크리스티'소설의 등장 인물들처럼 집요했던 리키 부부는 1961년 '포타슘-아르곤' 측정법이라라는 새로운 연대 측정법을 통해 그들이 발굴한 두개골을 측정해 모았다. 결과는 1백75만 년이었다. 그 떄 사람들은 인간의 기원을 ...
'말'로 자기의 의사표현을 한다. 이같이 기계와 사람이 말로써 대화를 하는것은 공상과학소설의 한부분에 불과했었다. 그러나 현재 이같은 일이 점차 사실로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음성인식기술은 음성에 의해 작동하는 타이프라이터나 워드프로세서를 만들어내기에 이르렀고, 음성합성기술은 ...
지진이 많은 나라 작가다운 발상이라 하겠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지금 이 소설이 단순한 소설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실로서 진행되고 있다고 믿고 이방면에 대한 과학적인 규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무엇에 관해서, 어떤 표정으로 대화하였다고 기록되어 보존되고 있다면 '1984년,이라는 소설의 작가 '조지 오웰'은 자기가 스스로 창조한 '위대한 감독자(Big Brother)'의 현실화에 약간은 당황할지도 모르겠다.컴퓨터 기술에의 경비보안시스템(Guard and Security System)은 작게는 각 개인이나 가정을 외부의 ...
해저의 불안정성 등. 지진에 대한 연구때문인지 일본인들은 피숑박사를 '쥘 베른느'의 소설 주인공으로 추앙하고 있고 미국사람들은 피숑 박사에게 미국지질학회 대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이 상은 지질학분야에 있어 노벨상에 버금가는 큰 상이다 ...
.'세이건'을 위해 〈지구의 그림엽서〉를 그린 '린다'는 결국은 '세이건'의 새 여인이 쓴 소설 〈한 이름난 실연녀〉 그대로의 운명을 따라 부인의 자리에서 쫓겨나고 말았다. '세이건'과 '두루얀'은 그들의 결혼기념으로 〈혜성(Comet)〉이란 책을 썼다. 이 책도 우리나라에서 번역물이 나왔다.'세이건 ...
이해하려면 지극히 조심스러운 관찰과 추리를 통하여 추측해 나가야 한다. 공상과학 소설처럼 실제로 일어나고 있지 않은 일들을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일들을 이해 하려는 것이다. 빛과 전자의 경우만 해도 그렇다. 만약 전자가 입자처럼 행동한다고 해도 틀리는 말이 되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