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산림청이 충남 부여국유림에서 친환경 벌채한 현장입니다. 왜 이런 모양이 됐을까요? 문제점은 없을까요? 동물들이 숨을 곳을 남겨라!‘벌채’는 나무를 베어내는 걸 말해요. 목재로 활용하기로 구분한 산림 지역에 고령화된 나무를 베어내고, 해당 지역에 어린 나무를 심는 거지요. 우 ...
날아가려 했다. ●인터뷰 “우리나라는 물새류의 중간기착지랍니다!”허위행(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 연구관) Q국가철새연구센터는 어떤 일을 하나요? 철새를 조사하고 자료를 모아 정부에서 보호 정책을 만들 수 있도록 돕고 있어요. 서해안 소청도의 연구 센터에서는 지나가는 ...
착륙 준비, 착륙 준비! 여기도 1년 만이군! 나는 큰뒷부리도요 4BBRW. 지금 막 대한민국의 금강 하구 갯벌에 도착했어. 앞으로 한 달 정도 머물다 5월에 머나먼 미국 알래스카로 떠날 거야. 그곳까지 가려면 6250km를 쉬지 않고 날아야 하니 이제부터 열심히 먹어서 살을 찌워야 하지. 그렇게 멀리 날아 ...
내가 사는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는 사실 알고 있니? 이곳엔 많은 해양 생물 친구들이 살고 있고, 지구의 과거 비밀을 캐낼 단서도 들어있거든. 바닷속은 어떻게 지도로 그리는 거냐고? 참고래, 바닷속 지질학자로 변신?지난 2월,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존 나벨렉 교수팀은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
한강의 역사는 종종 한반도 문명의 역사와 동일시된다. 물을 쉽게 이용해 선사문화가 탄생했다거나 한강 유역을 차지하는 국가가 가장 번성했다는 식이다. 하지만 인류가 한강을 목격하기 훨씬 이전부터, 심지어는 인류가 존재하기 전부터 한강은 한반도를 흘렀다. 한강 역사의 첫머리는 땅이다. ...
환경부가 선언한 ‘직매립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 폐기물을 소각할 시설을 확충하고, 기존에 운영 중인 소각시설을 재정비해야 한다. 게다가 폐기물을 소각하더라도 소각재를 묻을 매립지는 여전히 필요하다. 앞으로도 폐기물 처리시설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이 예상되는 ...
어흥~,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 생물주권을 지키는 길, 함께 따라오라흥!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 ...
과일을 새롭게 만들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해! 비결은 교배육종 기술이라고? 그러면 더 크고 달콤한 과일도 만들 수 있을까? 맛있는 과일은 많이 먹고 싶단 말이야~.크고 달콤한 과일을 새롭게 만드는 비결은 ‘교배육종●’ 기술이에요. 특징이 다른 품종을 교배해 새로운 종자를 만드는 기술이지요. ...
행성 랄로랑이는 지구를 닮았다. 모항성 타우타이에서 떨어진 거리도 그렇고 덩치에 어울리지 않는 커다란 위성 마시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그리고 랄로랑이에는 문명이 있다. 여러 문명이 서로의 존재를 모르는 상태로 대륙 각지에 퍼져 있고 가장 앞선 문명은 연한 금속을 겨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