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지. 이제는 단백질 수십 개가 결합한 아주 복잡한 단백질인 리보솜의 구조도 X선 결정학으로 밝혀낼 정도란다.이처럼 물리학의 영역이었던 X선 결정학이 단백질이나 DNA의 구조를 밝혀 주면서 생명과학이 발전할 수 있는 문을 활짝 열어 준 거야. 지금까지 X선 결정학과 ...
느껴지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실제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을 만나보면 어떨까.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밝힌 업적으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아다 요나트 박사는 노벨상 또한 하나의 상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한다.“노벨상 발표를 처음 들었을 때 정말 흥분되고 ...
바로 DNA를 추출해 해독한다.주로 DNA 바코드 기술을 이용하는데, 세균의 경우에는 16S 리보솜 RNA(rRNA) 유전자를 주로 쓴다. 메타지노믹스를 연구하면서 인류가 깨닫게 된 게 있다. 작은 공간에도 수많은 미생물이 군집을 이뤄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예를 들어 관악산 아무 곳에서나 흙 한 숟가락을 퍼도 ...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령 RNA, 리보솜을 구성하는 rRNA,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전달해주는 운반 RNA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RNA가 발견됐다.2000년대에 상황은 또 변했다.DNA에는 단백질 정보를 가지지 않은 비번역 DNA가 97%이상을 차지한다.DNA의 기능을 밝히고자 엔코드 프로젝트와 팬텀 ...
리보솜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의 정밀도로 밝혀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리보솜의 크기는 15~2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세포에서 가장 크기가 작은 소기관이다.엄 교수는 “1억 배율에 해당하는 원자 수준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X선 결정학과, 또 다른 관찰 방법인 ...
군은 즐거워했다. 그가 최종적으로 연구하고 싶은 것은 ‘인공세포’다. 단순히 DNA나 리보솜 같은 세포 소기관 몇 개만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소기관 전체를 합성하고 조절하는 것이 꿈이다. 이렇게 하면 원하는 항체를 완벽하게 생산하고 조절하는 인공생물을 얻을 수 있다.이를 위해서는 세포 ...
리보솜 RNA(rRNA)의 유전자(16S rDNA)에 주목했다. 16S rRNA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내 소기관인 리보솜의 구성성분으로 모든 박테리아가 갖고 있는 분자다. 박테리아 종마다 이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분석해 비교하면 해당 박테리아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기존에는 배양에 성공한 ...
연구를 한다며 많은 사람들이 절 오랫동안 거짓말쟁이라 말해 왔거든요. 실제로 리보솜 연구는 무척 힘들었어요. 하지만 그런 순간마다 가족이 큰 힘이 되어 주었답니다. 그리고 저는 어려운 문제에 부딪히면 꼭 그 날 해결하고 넘어갔어요. ‘어려움을 절대 내일까지 끌고 가지 않는다!’ 이게 제 ...
돌아갔다. 2005년 이후 5년만의 일이다. 최근 수년 동안 녹색형광단백질 발견(2008년), 리보솜구조 규명(2009년) 같은 생명과학 분야의 업적에 노벨화학상이 돌아가면서 내심 ‘노벨화학상이야, 노벨생리의학상이야?’라며 불만스러워 했던 ‘정통’ 화학자들이 모처럼 활짝 웃었다.소심한 탄소 원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