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 충분히 읽은 후에 예제 및 연습 문제까지 풀어보면 일단 한 단원의 학습은 완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을 어떻게 공부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가를 얘기해보자. 흔히 과학은 어렵다고 얘기한다. 물론 어렵다. 그러나 어느 과목치고 쉬운 것이 ...
처음엔 물리가 너무 난해하고 딱딱해 포기하려했지요. 그런데 어느날 '파동과 간섭'단원을 새벽3시까지 붙들고 곰곰 생각해 보니까 원리가 이해되고 재미가 붙게 되었어요."과학공부는 신비를 밝히는 지적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요령이라고 강조하는 이군은 등산을 그것에 비유했다."산에는 왜 ...
조금만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만 기르면 되는 것이다.따라서 각 단원별로 다음과 같은 의문점만 갖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면 아주 쉽게 지구 과학을 공부 할수 있을 것이다.□ 행성으로서의 지구·지구의 모양은 공처럼 둥글다고 하는데 우리는 어떻게 그것을 알 수 있을까? 또 ...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혈액이나 배설에 의한 내부 환경의 조절은 '조절과 항상성' 단원과 연관이 되며 영양소를 공부하였으면 이는 '원형질의 구성 물질'과 연관이 된다. 또 혈액에 의한 O₂와 CO₂의 운반 기구는 호흡에서 다루어진다. 이러한 내용들을 단편적으로 알고 연관시키지 못한다면 ...
있었다.3학년에서 '지구와 우주' 단원은 평소에 꾸준히 천체 관측을 했다면 아주 쉬운 단원이 된다. 그러한 관측 결과를 멋있게 설명할 수 있음을 아는 기쁨은 비길 데가 없다. 달을 정해진 시간에 그 모양과 위치를 한 달 동안 관측하고 그렇게 변하는 현상이 달의 운동으로 설명됨을 알았을 때 ...
일본, 서유럽국가들과 소련이 참여한 핼리 혜성의 관측사업은 3월 10일을 전후하여 대단원의 막을 올렸다. 이 관측 사업의 과학적인 결과는 지구생성과 생명체 탄생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를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핼리 혜성 관측사업은 또 과학을 통한 국제협력의 좋은 ...
오히려 고고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원시적인 손(수)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보통 발굴단원들은 작은 꽃삽으로 조심스럽게 파들어가다가 유물같은 것이 나오면 붓으로 흙을 털어내는 정도다. 그러나 일단 유물이 발견된 이후부터는 철저히 과학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특히 지하에 매몰되어 습한 ...
1963년도부터 중학과학과정이 통합 과학으로 제정되었지만 물리·화학·지구과학·생물을 단원별로 편성하며 묶음으로써 교과서만 '과학'이라고 단일한 책으로 간행되었을 뿐 실제 지도는 물상과 생물로 나누어서 별도의 교사가 담당하고 있다. 또한 고등학교에서는 과학교과서가 물리, 화학, 생물, ...
돌리게 되어 과학저널리즘에 대한 수요를 부추겼던 것이다.1969년 7월 아폴로계획이 대단원의 막을 내리자 우주개발에 보내던 뜨거운 관심도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우주개발붐을 타고 한때 웅성거렸던 우리나라의 과학저널리즘은 내리막 길을 걷게 되었다. 때 마침 공업화의 역기능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