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던 원자집단이 한쪽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IBM 등에서는 시편 위에 나노미터 크기를 갖는 글자를 새겨 자사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기여했다.아무튼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극초미세구조를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온도의 영향 등 여러가지 ...
상위 10개 과학기술(괄호 안은 국내 실현시기)1. 싱크로트론 방사광을 광원으로 사용해 10나노미터 이하의 패턴이 가공되는 기술이 실용화된다(2005).2. 고온 초전도체를 이용한 SQUID가 개발된다(2005).3. 박막을 이용한 소재 부품제조 및 반도체산업 등에 사용될 수 있는 ${10}^{-12}$ 토르 초고진공 용기 및 ...
뇌를 제외한 생리기능이 기계로 대치된 인간, 사이보그는 물론, 인간의 마음을 기계에 이식하는 아이디어까지 등장했다. 과연 미래의 인류는 어디까지 기계이고 어디까지 인간일까.인류의 장래를 예측함에 있어 생물적 요인보다 기술적 측면을 훨씬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작금의 추세는 결코 놀라 ...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작은 기계(마이크로 머신)를 만드는 연구가 시작됐다. 그러나 나노미터(${10}^{-9}$m)보다도 더 작은 기계를 만들려면 분자를 부품으로 사용하게 된다. 외부로부터의 정보나 자극을 예민하게 알아차리고 응답하며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에너지를 바꾸는 분자 수준의 기계다 ...
발생시키는 물질을 정맥주입, 암세포를 모아둔다. 그리고는 환자에 파장 6백64㎚(나노미터), 출력 5백MW의 레이저광을 쪼인다. 그 결과 암 환부에서 활성산소가 발생하여 그것이 암세포를 죽인다.지금까지도 이와 비슷한 광화학요법은 존재했으나 장치가 거대하고 과정도 복잡해 널리 보급되지 ...
것과 유사하다. 오팔을 전자현미경으로 약 2만배 가량 확대해 관찰해보면 지름이 수십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정도되는 작은 실리카 구형입자들이 층상구조를 이루며 배열돼 있음을 알 수 있다.보석중에는 표면이나 내부에서 빛이 간섭을 일으켜 입사하는 빛의 방향이 변함에 따라 스펙트럼과 같은 ...
위에 붙여진 금의 모양을 일반 탐침을 매단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주사하여 판독하고 나노미터 급에서 문자를 써넣고 읽을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이같은 원리의 메모리 동작 연구는 지금까지 여러 곳에서 진행돼 왔으나 상온에서, 그것도 실리콘 같은 손쉬운 소재를 사용해 성공한 경우는 ...
일본 전기(NEC)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새로운 물질 나노칩의 지름은 0.8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로 이제까지 발견된 소재 가운데 가장 가늘다.연구팀은 나노칩 외측에 납을 증착해 4백℃로 열처리한 결과 녹은 납이 칩의 끝부분으로 부터 관모양으로 흡수되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
이 둘을 혼합한 레이저빔을 쏘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파장이 5백78㎚(㎚는 나노미터라고 읽는데 나노는 ${10}^{-9}$을 뜻한다)인 황색의 레이저빔은 주로 혈관 쪽의 치료에 활용된다. 대개 붉은색의 병변을 치료하는데 쓰이고 피부 깊은 곳에 있는 병변에도 잘 적응된다. 이 황색빔이 유효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