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돌이도롱뇽의 집이기도 합니다. 나뭇가지 위를 돌아다니며 개미와 딱정벌레 등의 곤충을 잡아먹지요. 만약 떠돌이도롱뇽이 천적을 마주치면 어떻게 반응할까요? 이 도롱뇽은 나무 아래로 뛰어내립니다. 5월 23일,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의 크리스천 E. 브라운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
도롱뇽, 영원, 다리가 없는 무족영원류 등 약 6000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양서류는 대부분 곤충 등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포유류와 조류처럼 더 큰 포식자에게 잡아먹히는 생태계 먹이사슬의 중간자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최근 기후 변화와 전염병 등의 이유로 그 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생물종 미션 중 관찰한 나비 기록을 올려주었어요.서울, 충북, 그리고 제주에서 발견한 각양각색의 나비들이 참 아름다워요.생 ... 궁금해요!박시은 대원구름 팀 Q이 곤충은 어떤 종인가요?추헌철 나비 연구원이 곤충은 녹색박각시라는 나방 종류입니다 ...
숲 속에 커다란 그물망을 쳐서 우리가 못 들어가게 한 거죠. 그러자 그 지역 나무에 곤충이 3배나 더 늘었어요. 그뿐만이 아니에요. 나무에서 떨어진 낙엽도 3~9배나 증가했어요. 평소에 우리가 이 나무들을 지켜준 셈이죠. 이 나무들은 야생동물에 열매를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
어릴 때 농촌에서 자랐다. 중학생 때까지도 논두렁에서 하는 물총싸움과 술래잡기, 곤충채집이 제일 재밌었다. 학교 끝나고 동생과 집으로 돌아가는 길엔 길가에 익어가는 오디를 따 먹느라 해가 지는 줄도 몰랐다. 부모님은 축산업을 하셨는데, 저녁마다 우유를 짜고 난 젖소에게 건초를 먹이는 건 ...
받아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날갯짓 비행체’를 만들려고 했어요. 날갯짓 비행체는 새나 곤충처럼 날개를 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비행체예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프로펠러나 제트 엔진이 등장하고 비행체의 형태가 지금의 모습으로 점차 바뀌었지요. 그런데 20년 전부터 새의 비행에 다시금 ...
거품벌레에 영감을 받아 만들었답니다. 거품벌레는 몸길이 6mm 정도의 아주 작은 곤충으로, 자기 키의 약 120배인 70cm까지 뛰어오를 수 있어요. 거품벌레가 뛰어오르는 원리를 활용한 거야?교수팀은 거품벌레, 개구리 등이 점프하는 모습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이 동물들의 다리 근육이 용수철처럼 ...
실제 수사에 활용되기 때문에 ‘법의곤충’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리나라에는 어떤 법의곤충이 있는지 알아 봐요! 논에서는 일꾼, 논 밖에선 생태계 파괴범?닥터구리 팀(전북과학교육원 유상홍 외 1명) 왕우렁이는 잡초를 먹어 농사에 활용되었지만, 논 밖의 생태계로 퍼지자 생태 교란을 일으켜 ...
“위잉~! 위잉~!”봄을 맞아 요란한 소리를 내며 날아 다녀야할 벌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초 전국 양봉 농가에서 키우던 벌 약 83억 마리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도대체 벌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벌을 찾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