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 지하에서 900∼1400년 전 번성했던 중세도시가 발견됐다. 호주의 고고학자 대미언 에번스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유적인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인근 정글의 땅 아래에서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은 중세도시들을 발견해 ‘고고학 과학 저널’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레이저 ...
가 마타타를 능가하는 언어 능력을 갖게 됐다.칸지는 이를 이용해 새로운 기술도 배웠다. 고고학자인 니컬러스 토스에게 배운 대로 돌을 깨서 원하는 형태의 뾰족한 돌을 만들어 보였다. 칸지는 우리의 옛 조상들이 돌을 깨서 뗀 석기를 만드는 기술을 렉시그램 언어를 통해 습득했다는 얘기다. ...
이상희 UC 리버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는 국내 최초의 정통 고(古)인류학자다. 인류학자는 들어봤어도 ‘고’인류학자는 못 들어봤다는 사람이 대부분이던 1990년대부터 미국에서 고인류학을 공부했다.“수십만, 수백만 년 전 인류의 화석을 연구해 인류의 진화를 밝히고 있습니다. 제가 직접 고인류 ...
‘문화재’와 ‘실험’은 어쩐지 잘 어울리지 않는 단어 같습니다. 하지만 이 연재를 꾸준히 읽은 분들은 두 단어가 결코 먼 단어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 것입니다. 문화재의 훼손을 조사할 때에도, 보존처리를 할 때에도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 실험을 동반한 연구를 하기 때문입니다. 고고학 분 ...
처음부터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인과 아마존 원주민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췄다.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신대륙인의 얇고 긴 두개골이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들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이전부터 있었다. 또 아마존 토착민인 수우리족, 카리티아나족이 쓰는 언어가 호주 원주민의 언어와 ...
19세기 초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신학 시험 시간이다. ‘예수가 물을 포도주로 만든 기적이 상징하는 종교적, 영적 의미를 서술하라’는 문제에 학생들이 머리를 싸매고 있다. 문학을 전공하던 3학년 조지 고든 바이런은 잠시 망설이더니 단 한 문장을 적고 유유히 교실을 빠져나간다. “물이 그 주인 ...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완도선(1984), 달리도선(1995), 십이동파도선(2004), 태안선(2007) 등 총 13척의 고선박이 발견됐다. 이 중 신안선과 완도선은 중국 배로, 해외 무역 중 우리나라 해안에서 난파했다. 신기한 건 13척의 배 중에 11척이 고려시대 배라는 점이다. 통일신라 시대 배는 2012년 인천 앞바다에 ...
지난 5월 말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그리스의 한 연구팀이 실제 여성의 다리로 고대 이집트의 미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것. 연구팀은 고대 이집트의 전통 방식대로 시신의 다리 조직을 소금 용액에 넣어 미라로 만들면서, 그 과정을 당시에는 없었던 최첨단 현미경과 영상 기술로 세세 ...
곳”이라며 “이곳에서 느닷없이 가장 오래된 동굴벽화가 등장했다는 사실에 많은 고고학자들이 의아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기가 문화의 절대적 단계 기준은 아니며 당시 인류는 지역에 관계없이 석기를 만들 인지능력이 충분히 있었다(배기동 교수)”는 해석도 있다.특히 유럽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