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을 향한 인류의 도전사

스미소니언 항궁우주박물관

1903년 12월 17일 오전 10시 미국 키티호크 해안에서는 인류의 오랜 꿈이 실현되는 역사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자전거를 판매하던 36세의 윌버 라이트와 32세의 오빌 라이트가 만든비행기가 12초 동안 36m를 난 것이다. 이날 최장 59초 동안 290m를 날았다. 이것이 4기통 13마력의 가솔린엔진을 단 인류 최초의 동력비행기 플라이어호다.

이번에 소개하는 곳은 라이트 형제가 첫 비행에 성공한 ‘플라이어 1호’를 보관하고 있는 스미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사이트. 비행기에 대해서 가장 많은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이 박물관은 1970년에 개관해 인터넷을 통해서도 기구(氣球), 비행기, 우주비행 등 하늘을 비행하는 기술에 관한 많은 사진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처음으로 음속을 돌파한 ‘X-1 로켓 실험기’, 고다드 박사가 1926년에 개발한 세계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 아폴로 11호의 사령선인 ‘컬럼비아’호 등 실물을 직접 만날 수 있다. 특히 단순한 모형이 아니라 연료만 주입하면 언제든지 작동될 수 있는 실물을 전시하는데, 사진 역시 전시물을 그대로 옮긴 것이어서 사실감이 높다.

눈 여겨볼 코너는 비행 100주년 기념으로 제공하는 ‘라이트형제’. 윌버와 오빌에 대한 인물탐구부터 비행기가 발명되기까지의 상세한 이야기, 그리고 라이트 형제와 함께 한 항공발달사를 만날 수 있다. 특히 쌍방향 실험 코너에서는 라이트 형제의 이야기를 쌍방향 실험과 애니메이션으로 볼 수 있다. 이 곳에서 윌버의 고등학교 성적표, 스미소니언 재단에 보낸 친필 편지, 형제가 사용한 자전거 등을 볼 수 있다.

각 코너마다 제공되는 자료실은 풍부한 알짜 페이지로 각종 비행기와 우주비행체에 대한 사진과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라이트 형제가 설계한 플라이어호의 설계도 이미지를 직접 다운받아 볼 수도 있고, 항공기 뿐만 아니라 로켓, 우주비행선에 대한 사진과 자료가 풍부하다. 특히 ‘비행 갤러리’는 사진을 보면서 비행기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구성돼 있다.
 

상세한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사진을 통해 항공발달사를 한누에 파악할 수 잇는 스미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사이버 항공박물관 www.greatsky.co.kr

우주선이 날고 있지만 사람이 하늘로 올라간 지는 이제 겨우 200년 남짓. 이 사이트는 항공평론가로 활동하는 이태원 씨가 대한항공에서 30여년간 근무하며 수집해 온 항공우표와 항공관련 사진을 전시하는 항공관련 인터넷 박물관이다. 항공 역사와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제공하고 있다.

‘항공우표전시관’에는 주제별로 총 28실로 나뉘어 우표가 전시되고 있는데, 각 실별로 수십장의 우표가 있다. 국내 뿐 아니라 해외의 우표도 볼 수 있으며, 30여년 전의 우표부터 가장 최근의 우표까지 항공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항공기사진 전시관’은 초기항공기, 군용기, 민간기 3분야의 항공기 발달사에 따라 총 22실로 구성돼 있다. ‘공상 비행’실을 찾으면 인류가 수천년 전부터 신화나 전설 속에서 공상의 날개를 이용해 하늘을 날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군용기 발달사 코너에서는 세계대전 및 걸프전 참전 전투기, 국내 공군의 주력 전투기, 그리고 미래의 최신예 전투기 등을 만날 수 있다. 항공발달사에서는 1500년부터 현재까지의 항공 발달 역사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항공기 발달이 최근 수십년 동안에 모두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자동화된 항공기가 등장할 날도 머지 않은 듯 싶다.
 

사이버 항공박물관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5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박응서 기자

🎓️ 진로 추천

  • 항공·우주공학
  • 기계공학
  • 역사·고고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