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 저도 로봇을 만들어 보고 싶은데… 네? 뚝딱 조립하면 끝이 아니라, 좌표 위에서 안전히 움직이도록 코딩해야 한다고요?
좌표는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에요. 종이처럼 평평한 면 위에서는 왼쪽과 오른쪽, 앞과 뒤로 2가지 값을 적는 2차원 좌표를 사용하고, 실제 세상과 같은 공간 속에서 움직일 땐 왼쪽과 오른쪽, 앞과 뒤, 위와 아래로 3가지 값을 적는 3차원 좌표를 사용하지요.
아이스크림을 완성해 배달하자!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2502/1738513259-d379cb64-08cb-4b8f-b8c4-e6396480dd9f.png)
위 2차원 좌표를 나타낸 값을 보고, 배달 로봇 어수봇이 지나갈 길을 그려 주세요. 어수봇은 먹고 싶은 토핑을 모아 도착지인 집으로 배달을 갈 거예요!
“삐용삐용! 강아지 발견! 안전을 위해 5m 이상 떨어져서 움직입니다.”
배달 중이던 어수봇에 안내 목소리가 울렸어요. 길이를 잴 수 있는 도구가 없는데,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용어 설명
레이더 :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쏘아서 물체를 찾고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