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천체는 단연 태양과 달이죠. 태양과 달은 가장 잘 알려진 천체이면서도 아직까지 그 비밀을 완전히 밝혀내지 못한 미스테리 천체이기도 해요. 올해는 태양과 달을 탐사하는 탐사선이 모두 발사될 예정이랍니다.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


올해 여름에는 태양의 비밀을 밝히는 태양 탐사선 발사도 계획되어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7월 말~8월쯤 태양 탐사선 파커를 발사할 예정이거든요. 파커는 16주 동안 우주를 날아 태양에 다가간 뒤, 최초로 태양의 대기에 진입할 거예요. 이후 약 7년간 태양을 공전하면서 태양 표면과 대기의 정보를 조사할 거랍니다.

 

그렇다면 파커 탐사선은 뜨거운 태양의 열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을까요? 그 비결은 방패에 있어요. 탐사선 개발에 참여한 NASA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는 11.4m 두께의 탄소복합체로 방패를 만들어 탐사선 앞쪽에 붙였어요. 이 방패가 태양 빛을 반사하면서 최대 1370℃까지 견딜 수 있게 해 주지요. 또 열 방출기를 이용해 방패에 스며든 열을 다시 우주로 내보낼 수도 있답니다. 과학자들은 파커를 통해 고도가 높아질수록 차가워지는 지구 대기와 달리, 점점 뜨거워지는 태양 대기의 비밀을 풀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답니다.

 

달의 뒷면에 착륙하라!


중국의 창어 4호는 달의 뒷면을 탐사하기 위해 올해 12월에 우주를 향해 날아가요. 달은 스스로 한 바퀴를 도는 자전 주기와 지구 둘레를 한 바퀴 도는 공전 주기가 27.3일로 같아요. 그래서 우리는 늘 달의 앞면만 볼 수 있었지요.

 

달에서 샘플을 채취해 돌아오는 프로젝트도 진행되고 있어요. NASA는 달의 북극에서 얼음을 채취하고 분석하는 ‘리소스 프로스펙터’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어요. 달의 극지방에도 수성과 마찬가지로 얼음이 있을 확률이 높거든요.

 

중국은 달의 남극이나 달 뒷면에 있는 ‘사우스 폴 에이켄’이라는 거대한 분화구를 샘플 채취 탐사지 후보군으로 정했어요. 이 분화구는 워낙 깊이 패어 있어서 달의 맨틀이 드러나 있지요. 그래서 탐사선이 이곳에 착륙해 연구한다면 달의 내부 구조를 연구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에 우주정거장이 떨어진다?! 2018 우주 빅뉴스 5

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Part 4. 행성 탐사로 지구를 이해한다!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

2018년 0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윤선 기자·petiteyoon@donga.com
  • 사진 및 도움

    정태현(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박사), 최영준(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박사), 고정환(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본부 본부장), NASA, ESA 등
  • 기타

    [일러스트] 박장규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