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018년 세 번째 이슈는 지구에서 전해드립니다.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하기 위해 전 세계에 있는 8개의 전파망원경이 힘을 합쳤다는 소식입니다. 과연 블랙홀은 과학자들이 상상했던 고리형 원반 그 모습 그대로일까요?

 

 

블랙홀의 실제 모습은 어떻게 생겼을까?!

 

블랙홀은 중력이 어마어마하게 큰 천체라 속도가 가장 빠른 빛 조차도 끌려들어가요. 그래서 다른 별처럼 빛을 내거나 반사하지 않지요. 그 결과 가까이에 있는 블랙홀이라도 기존의 망원경으로는 관찰하기가 어렵답니다. 대신 물질이 빨려 들어가는 과정에서 빛을 내는데, 과학자들은 대형 전파망원경으로 이 빛을 감지해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해 왔어요.

 

지난 2017년 4월,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하기 위해 전 세계 34곳의 대학교와 천문대의 과학자 100여 명이 힘을 합쳤어요. 미국과 칠레, 멕시코 등 전 세계에 위치한 전파망원경 8대가 동시에 지구로부터 3만 5000광년 떨어져 있는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궁수자리A*’를 관측했지요. 이 프로젝트를 ‘EHT 프로젝트’라 해요.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거대한 하나의 망원경처럼 활용하면 지구에서 달에 있는 골프공도 볼 수 있어요. 현재는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이에요.

 

그렇다면 올해 발표될 블랙홀은 어떤 모습일까요?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님은 “블랙홀의 한 쪽이 더 밝게 보이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예를 들어 블랙홀이 회전할 때 고리에서 왼쪽은 빛이 우리를 향해 오고 오른쪽은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우리가 보기에 왼쪽의 빛이 오른쪽보다 더 밝게 보이는 거죠.

 

 

 

정태현 박사님은 “블랙홀 관측 연구는 기존의 천체물리학 이론을 증명하고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올 해 관측에는 북극의 망원경이 또 추가되는 만큼 앞으로 점점 더 선명한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에 우주정거장이 떨어진다?! 2018 우주 빅뉴스 5

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Part 4. 행성 탐사로 지구를 이해한다!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

2018년 0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윤선 기자·petiteyoon@donga.com
  • 사진 및 도움

    정태현(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박사), 최영준(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박사), 고정환(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본부 본부장), NASA, ESA 등
  • 기타

    [일러스트] 박장규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