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생명 연장을 넘어 우주로!


많은 사람들이 생명 연장을 꿈꾸면서 냉동 인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미래에는 대부분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장수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인체 냉동 보존술이 냉동 인간에만 쓰이는 건 아니에요. 이미 우주 여행이나 의학에도 쓰이고 있거든요.

 

우주 멀리 있는 행성까지 가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을 비행해야 해요. 이때 겨울잠을 자는 동물처럼 인공 동면을 하면 몸이 필요한 에너지를 줄여 체력을 아낄 수 있고, 지루함도 덜 느낄 수 있지요.

 

SF영화나 소설에서는 냉동 인간처럼 몸을 차갑게 얼린 상태로 잠을 자는 ‘인공 동면’ 기술로 우주 여행을 하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인공 동면은 냉동 인간과 완전히 같은 기술은 아니에요. 하지만 체온을 내리기 위해 특정 물질을 몸에 넣고 차갑게 얼린다는 점에서 매우 비슷해요. 또 두 기술 모두 몸의 활동을 최소로 했다가 원하는 시간에 다시 깨어나 정상 생활을 하는 걸 목표로 한답니다.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인공 동면 기술 ‘콜드 슬립’을 연구하고 있어요. 2030년쯤 화성에 우주인을 보내는 유인탐사에 사용할 계획이지요. 우주인은 화성까지 가는 180일 동안 잠을 자며 링거를 통해 영양분을 섭취하게 된답니다.

 

냉동 인간의 원리를 응용한 ‘저체온 수술법’도 이미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어요. 저체온 수술법은 냉동 인간처럼 환자의 체온을 낮춰 수술하는 방법이에요. 체온을 20℃ 정도로 낮추면 피가 흐르지 않고 멈추게 돼요. 그럼 수술 도중에 피를 많이 흘려 위험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훨씬 수월하게 치료할 수 있답니다.

 

 

 

 

 

 

# 이제 내가 만든 냉동 캡슐이 왜 망가졌는지 알았어. 필요한 기술도 충분히 배웠으니 난 곧 다시 냉동 캡슐에 들어갈 거야! 그리고 꼭 최초의 냉동 당나귀가 되고 말 거라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2017년 16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윤선 기자 petiteyoon@donga.com
  • 도움

    최영식(한국뇌연구원 신경줄기세포실험실 책임연구원), 조성훈(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 나노바이오소재 팀장), 김경진(한국뇌원구원 원장), 알코어 생명연장재단, 농촌진흥청, 이지영(농총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연구사), 김학준(부경대학교 화학과 교수), 이준혁(극지연구소 극지유전체사업단 책임연구원)
  • 일러스트

    박장규, 이창우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항공·우주공학
  • 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