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뉴스로 보는 뉴스] 어린이를 위한 병원, 10년 동안 1/40 줄었어요!

최근 어린이들이 병원에서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졌어요. 어떻게 된 일일까요? 바로, 어린이를 위한 병원인 소아청소년과가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에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체 의원 수는 2013년에 2만 8328개였는데, 2023년에는 3만 5225개로 늘어났어요. 하지만 소아청소년과는 같은 10년 동안 2200개에서 53개가 줄어 2147개가 되었지요. 새로 문을 연 다른 의원의 수는 늘었는데, 소아청소년과는 오히려 2200개 중 53개(약 1/40)가 문을 닫은 셈이에요. 

 

 

 

소아청소년과가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줄었기 때문이에요. 통계청이 발표한 출생아 수는 2012년에 48만 5000명이었지만 2022년에는 24만 9000명으로, 거의     이나 줄어들었어요. 아이의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소아청소년과는 환자가 적어지고, 병원을 운영해 얻는 이익도 줄어든 거예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소아청소년과가 꼭 필요하다고 말해요. 조승복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어린이는 몸무게에 따라 정확한 양의 약을 줘야 해요. 어린이의 몸에 꼭 맞는 진단이 가능한 소아청소년과가 사라진다면, 어린이가 아플 때 위급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어요.”라고 말했어요. 

 

 

 

용어 설명

 

의원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침대가 30개 미만인 의료기관이에요. 보통 동네 곳곳에 있는 작은 병원인 경우가 많아요. 

출생아 태어난 아이라는 뜻이에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3년 14호 어린이수학동아 정보

  • 최은솔 기자
  • 사진

    GIB, 어린이수학동아
  • 디자인

    오진희

🎓️ 진로 추천

  • 의학
  • 보건학
  • 아동가족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