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태평양판 주변이 위험하다!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뭘까요?


[불의 고리에서 일어난 강진 :
 1900년 이후 발생한 지진 규모 상위 10개 중 9개가 불의 고리에서 발생했다. 지난 1년간 전세계에서 발생한 M7.0 이상 강진 중 약 80%가 불의 고리에서 일어나기도 했다. 이 지역은 태평양판과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끊임없이 이동하며 부딪히고 있는 곳이다.]


지구의 표면은 마치 퍼즐 조각처럼 나뉘어 있어요. 맨틀 위쪽부터 지각까지 이어진 이 조각을 ‘판’이라고 해요. 10개의 큰 판과 작은 판들을 합쳐 약 20개의 판이 있답니다.

판들은 한자리에 가만히 머물러 있지 않아요. 마치 물 위에 뜬 나무판자처럼, 맨틀 아래쪽의 움직임에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고 있어요. 어느 곳에서는 판이 생겨나는가 하면, 또 어느 곳에서는 한 판이 다른 판 밑으로 푹 들어가며 사라지지요. 판과 판이 서로 팽팽하게 맞대결하며 그 사이에 있는 퇴적물을 힘껏 밀어올리기도 하고요.

판이 생겨나는 지역을 ‘확장 경계’, 판이 만나는 지역을 ‘수렴경계’라고 불러요. 또 한 판이 다른 판 아래로 들어가는 부분을 ‘섭입대’, 판과 판이 만나 새로운 땅을 만드는 부분을 ‘조산대’라고 한답니다.

섭입대나 조산대에서는 두 판이 계속해서 부딪히며 마찰하기 때문에 땅속이 뜨겁게 달아올라 있어요. 마그마가 쉽게 생겨나서 화산이 줄을 지어 폭발하는가 하면, 땅이 부딪히며 지진도 자주 발생하지요.

불의 고리는 지구에서 가장 큰 태평양판과 그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다른 판과 부딪히고 있는 지역이에요. 아시아의 동쪽과 아메리카의 서쪽을 따라 둥그런 모양을 이루고 있지요.

이 지역에 특히 지진과 화산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태평양판이 매우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이에요. 보통 다른 판들은 1년에 5~6cm씩 움직이는 반면, 태평양판은 1년에 10cm씩 이동하고 있답니다. 그래서 다른 판보다 지각 변동이 빠르고 크게 일어나는 거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2016년 10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김은영 기자
  • 도움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본부장
  • 도움

    조현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도움

    이경구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도움

    이준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사진

    USGS, IRIS, 연합뉴스, Google Earth 외
  • 달상

🎓️ 진로 추천

  • 지구과학
  • 환경학·환경공학
  • 해양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