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사이언스
뉴스
라이브러리
AI
스토어
가입/로그인
구독상품안내
구독인증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슬기
#AI
#챗GPT
#영재학교
#학습만화
#진로
이달의 기사
[특집] 때가 쏙! 바이러스도 쏙! 비누의 비밀
내 이름은 꼬질이, 우리 부모님은 내가 밖에서 놀고 오기만 하면 꼬질꼬질하다고 잔소리를 하셔! 오늘도 진흙밭과 모...
이용가이드
마이페이지
내 책장
e매거진
eBook
연재만화
시리즈
이과력 퀴즈
e매거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수학동아
eBook
과학
수학
공학 · IT
만화 · 소설
연재만화
연재중
완결
시리즈
일상 과학
탐구&학습법
이슈&토픽
멋있으면 다 선배
이벤트
진행중인 이벤트
종료된 이벤트
4만 여 개의 과학 기사 중
‘천마’
관련 기사가 총
3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필터
구분
전체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
중등
고등
연관 검색
입시준비
학부모
교과
전체
물리
생물
화학
지구과학
기후·환경
과학융합탐구
수와 연산
변화와 관계
도형과 측정
자료와 가능성
과학사·문화
수학융합탐구
진로
전체
공학
교육
사회과학
예체능
의료
인문학
자연과학
연관 매체
전체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수학동아
기간
전체
최근3개월
최근6개월
최근1년
직접입력
~
검색
검색 초기화
전체(3)
잡지기사(3)
e매거진(0)
eBook(0)
연재만화(0)
시리즈(0)
잡지 기사
(3)
더보기
천마
(
天馬
)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
1991년 10호
가을 밤하늘에는
천마
페가수스자리가 뚜렷하며 별빛이 차분함을 준다. 금성은 사자자리에서 눈에 띄고, 목성과 토성도 관측 가능하다. 오리온자리 유성우가 보이며, 안드로메다 은하가 맨눈으로 관찰될 수 있다. 페가수스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는 가을철 별자리 탐색에 유용하다.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
2000년 09호
가을 밤하늘에서 페가수스 사각형을 시작으로 변광성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이들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한다. 고대 그리스 시절 히파르코스 이후 별의 밝기 변화는 중요한 발견이었고, 조선 관원들도 세계적으로 중요한 관측을 했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외부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천마
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
2002년 10호
경주
천마
도는 자작나무 껍질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거제수나무나 사스레나무일 가능성이 높다. 과거 신라인들은 자작나무 껍질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렸고, 이는 자작나무의 방수성과 방부성 덕분이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천마
총에서 출토된
천마
도는 오랜 시간을 견딜 수 있었다.
상세 검색
구분
전체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
중등
고등
연관 검색
입시준비
학부모
교과
전체
물리
생물
화학
지구과학
기후·환경
과학융합탐구
수와 연산
변화와 관계
도형과 측정
자료와 가능성
과학사·문화
수학융합탐구
진로
전체
공학
교육
사회과학
예체능
의료
인문학
자연과학
연관 매체
전체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수학동아
기간
전체
최근3개월
최근6개월
최근1년
직접입력
~
검색
검색 초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