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가스형 행성만 표시했나
화성의 위성은 포획을 통해 얻었지만, 굳이 불규칙위성이라고 부르지는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화성의 위성은 이웃한 소행성대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 최영준 천문연우주감시센터 책임연구원은 "태양계 형성 초기에 여러가지 미행성이 만들어진 뒤 행성들이 전체적으로 태양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는 과정이 있었다"며 "이 때 많은 미행성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안팍으로 튀어나갔는데, 화성의 위성은 그 때 포획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Part 2 - Moon Story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