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UPePub

    키워드

    세상에서 가장 쉬운 노벨 물리학상 1

    1986년부터 1999년까지
    과학동아 편집부과학동아북스 · 2024년 04월 15일
    3,000

    구독 상품(Smart+, d라이브러리 Basic/All 패스) 구매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설치 없이 인터넷으로 쉽게 읽는 e북 뷰어입니다. WI-FI 환경에서 사용을 권장합니다.

    키워드

    편집자의 한마디

    ‘세상에서 가장 쉬운 노벨 물리학상 1’은 1986년부터 1999년까지 과학동아에 실린 노벨 물리학상 수상 기사들을 집대성했다. 과학동아는 1986년 1월 창간 이래, 11월마다 그해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와 그의 연구 내용에 관한 깊이 있는 기사를 게재해왔다. 특히 이 기사들은 그 당시 수상자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한국의 과학자들이 쓴 원고도 많은 까닭에, 게재 시기의 한국 과학계의 상황에 관한 자료로도 큰 가치가 있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노벨 물리학상 1’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의 한국 과학계가 노벨상을 받게 된 해외 연구를 수용한 방식과 이 분야에서 스스로 얻은 성과를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기록이다.
    또한 ‘세상에서 가장 쉬운 노벨 물리학상 1’은 노벨 물리학상을 통해 현대 한국의 ‘과학관’이 변화해온 모습을 잘 보여준다. 1986~1999년의 노벨 물리학상을 향한 한국 사회의 관심은 언제 한국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을지, 그 가능성과 시기에 대한 열망으로 수렴되는 면이 있다. 노벨상이 국력의 척도로 인식되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노벨상이 한국 과학을 넘어선 한국 자체에 대한 세계적 평가라고 당시의 한국 사회가 인식했음을 ‘세상에서 가장 쉬운 노벨 물리학상 1’에서 엿볼 수 있다. 노벨상을 향한 한국의 이 관심은 현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세상에서 가장 쉬운 노벨 물리학상 1’은 한국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귀한 단서다.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 현대 노벨 물리학상의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싶은 독자들
    - 현대 물리학의 핵심 성과들을 가장 간편하게 이해하고 싶은 독자들
    - 한국 사회와 과학의 관계에 대한 특별한 통찰을 얻고 싶은 독자들

    목차

    1. 1986년 전자현미경의 개발
    2. 1987년 초전도 물질의 실용화에 돌파구
    3. 1988년 중성미자의 정체를 밝혀
    4. 1989년 원자시계란 무엇인가?
    5. 1992년 입자물리학의 기본도구인 검출기 개량
    6. 1993년 쌍성펄사에서 발생하는 중력파 추적
    7. 1994년 고체 결정 연구에 새로운 길
    8. 1995년 자연을 설명하는 ‘가벼운 디자인’
    9. 1996년 저온 물리학 시발점 ³He초유체 현상
    10. 1997년 원자포획의 문을 연 레이저 냉각
    11. 1998년 애니온이 여는 신세계
    12. 1999년 표준이론 수학적으로 증명

    정보

    • 발행사

      과학동아북스
    • 발행일

      2024-04-15
    • 열람 형식

      EPUB
    • 쪽수

      -
    • ISBN

      978-89-6286-822-7
    상품 리뷰(0)※ 상품과 관련 없는 댓글, 광고, 악플 등은 삭제 및 차단 됩니다.
    평균 평점
    전체 리뷰 수

    0
    첫 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세상에서 가장 쉬운 노벨 물리학상 1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