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으로 바꾸어줄 '현자의 돌'을 찾으려 했다. 또 한편에서는 초목이나 돌 등으로부터 불로장생의 약을 만들 수 있는 마법의 약을 찾으려 했다. 그들은 이를 위해 갖가지 물질을 섞어서 반응시켰지만 '현자의 돌'이나 '마법의 약'을 찾는 데는 실패하고 말았다.하지만 이들의 수고가 전혀 무의미한 ...
황이라고 생각되는 물질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가열하면 새로운 화학적 성질을 가진 '불로장생의 신비한 영약'이나 '신비로운 돌'을 얻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연금술사들의 천부적(?) 감각그런데 이들이 수은 황 소금 등 물질의 3원소로 생각 한 것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해 볼 때 ...
비천한 금속으로부터 금을 얻어내려는 목적에서 추구되었던데 반해 중국의 연금술은 불로장생약을 목적으로 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물론 현대에 사는 우리에게 이들 두가지 시도들은 모두 불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들은 서양과 중국의 전통적 자연관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했다.특히 ...
때문이다.지금도 '학(鶴) 천년, 구(龜) 만년'이란 말이 있듯이 두루미는 거북과 더불어 불로장생의 동물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두루미의 최장수기록은 55세. 미국 워싱턴동물원에서 수립되었다.일찌기 우리의 시인묵객들은 유유자적하는 두루미를 즐겨 그렸다. 그런데 이 그림중에 ...
돌'을 찾는 일과 인간을 불로장생시킬 수 있는 약을 찾는 일을 동시에 진행했다. 불로장생약은 먹으면 사람의 모든 병이 치유되며 늙지도 않고 심지어 죽지도 않을 수 있다는 만능의 약이었다.그런데 불행히도 연금술사들 중에는 사기꾼이나 허풍장이가 많았다. 자신이 금을 만들 수 있는 '철학자의 ...
기침, 천식, 알레르기에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쓰여졌다. 인도의 힌두교도들은 은행잎을 불로장생의 영약을 만든다고 사용하기도 했다.이러한 은행잎의 평판에 자극받은 하버드대학의 ‘엘리아스 코레이’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은행잎의 성분을 분석하고 합성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런데 이런 ...
기초가 되었다. 오늘날 정유공장은 여기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중국의 연금술사는 불로장생을 구하였다. 이에 반하여 서양의 연금술사는 어디까지나 현실적인 금과 은을 구하였다. 따라서 동양의 경우에는 추상적인 성격이 부여되고 폭 넓은 해석이 주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서양의 경우는 ...
로마인들은 버섯의 독특한 향미를 즐겨 '신의 음식'이라고 찬미했고 중국인들은 버섯을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다루어 왔다. 이처럼 식용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돼온 버섯은 동시에 독버섯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우리가 버섯이라고 알고 있는 부분인 '자실체'(子實体)는 실상 버섯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