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동차, 기차, 버스, 비행기. 어떤 교통수단이 가장 환경에 좋을까?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원(IIASA)과 국제기후환경연구센터(CICERO) 공동연구팀이 500~1000km를 움직일 때 각각의 교통수단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계산해 학술지 ‘환경과학&기술’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

기존의 탄소발자국 계산기를 각 운송시스템 전체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라면 이번에는 더 많은 변수를 고려했다. 연구팀은 교통수단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에 초점을 맞췄다. 이는 실제 유럽의 자동차, 버스, 기차의 배출 데이터를 토대로 만들었다. 그리고 타고 있는 승객의 수와 효율성 같은 요소도 계산에 넣었다.

그 결과 비행기가 가장 큰 차이로 거리당 환경에 끼치는 악영향이 많았다. 비행기는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비행운과 새털구름까지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강하지만 지속되는 시간은 짧다.

자동차와 대중교통은 상황에 따라 달랐다. 대형승용차를 혼자 타고 가는 건 비행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악영향을 끼쳤다. 대형승용차를 타고 1000km를 이동하면 이산화탄소가 250kg까지 나올 수 있다. 하지만 기차나 소형차를 3명이 함께 타고 갔을 때 1인당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50kg 정도로 비슷했다.

연구팀은 “교통수단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려면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저탄소 연료를 개발해야 한다”며 “일반인의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동차를 여러 명이 타고 가야 한다”고 권했다.

2013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고호관 기자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교통·철도공학
  • 기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