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탐구·체험으로 점프 업!

④ 과학중점학교 혜원여고


골목길을 따라 혜원여고를 찾아갔다. 학교 교문 안에는 깔끔하고 규모가 큰 건물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과학중점학교로 새로운 시작

혜원여고는 이미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의 ‘과학·수학 특성화 교과교실 학교로 지정돼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고 있다. 2010년에는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돼 2011년 과학중점과정 첫 학년이 입학했다. 전체 12개 반 중 2개 반은 과학중점과정이지만 나머지 10개 반은 일반과정으로 일반계 고등학교와 같이 운영한다. 과학중점과정은 주로 이공계 대학 진학을 원하거나 과학자, 엔지니어 등 과학기술 분야를 꿈꾸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계 고등학교의 수학·과학 과목의 비율이 30%, 과학고는 60% 정도인 데 비해, 과학중점과정은 45% 이상이다.

과학중점과정은 선지원 후추첨으로 학생을 뽑는다. 시험을 보는 방식이 아니다. 자율형 공립고 배정 후, 후기 일반계 고등학교보다 앞서 배정된다. 1단계는 혜원여고 과학중점반을 지망한 학생 중에서 중랑구나 동대문구에 사는 지원자를 모집정원의 50%(35명) 추첨한다. 나머지 모집인원은 2단계에서 1단계 탈락자 포함해 중랑구나 동대문구 외 지역에 사는 지원자 중에서 뽑는다.
1학년 때는 과학중점·일반과정 모두 과학교양 수업을 받는다. 2학년이 되면 본격적으로 달라진다. 과학중점과정은 실험 수업을 더 듣고 3학년 때는 과학Ⅱ과목을 모두 배운다.

혜원여고는 서울 시내 일반계 고등학교 중 처음으로 기숙사 운영을 시작했다. 멀리서 오는 과학중점과정 학생과 학습 열의가 높은 학생들을 위한 것이다.

교과교실, 과학중점, 열정적 교사

수학·과학 교과교실제를 운영해왔기 때문에 실험이나 탐구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다. 그래서 탐구위주 수업을 권장하는 과학중점과정이 더 알차게 운영된다. 수학·과학 탐구 활동반을 운영해서 팀별로 다양한 동아리 활동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천체 관측활동이나 과학기구를 만드는 과학캠프도 운영한다. 대학교나 과학고의 과학 탐구지도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서울대, 고려대, 한성과학고와 협약(MOU)을 체결해 교류하고 있다.

교사가 멘토가 돼 학생의 부족한 영역을 지도하는 ‘교사 멘토링제’도 운영하고 있다. 내실 있는 과학교육 여건과 자유로운 교육과정, 학생을 위해 열정적으로 나서는 교사가 있어 수시 전형이 중요해지는 현행 입시제도에서 혜원여고의 미래는 밝다.

2012년 4월 과학동아 정보

  • 이정훈 기자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