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How do animals differ from humans? Or, how humans are different from animals? We humans also belong to the animal kingdom, but we often place ourselves at the highest spot on the intellectual pyramids, food chains, giving ourselves rights to treat other animals as we would like to do. Is this righteous? Recent scientific findings tell us that it may not. More and more we are beginning to find out that animals are just same as us humans. They just lack some abilities little bit comparing to human adults. Some of them are actually almost same as human children - intellectually, emotionally, and linguistically.



Every day, some scientists spend their mornings having coffee with Kanji. It is Knaji’s. But Kanji is a fellow of a few words - just 384 words by formal count, though he pbobably knows dozens more. Of course he has a perfect voice. But it’s not especially good for forming words. He uses pictured cards instead of his voice to talk. This is the way of things when you are a bonobo, like 29-years old Kanji, the close and more peaceful cousin of the chimpanzee.



Kanji uses colored picture cards to talk. He not only uses existing cards to talk, but also makes new words mixing complex set of cards. For example, he mixes SLOW card and LETTUCE card to make a word for KALE. Kanji does this because it takes longer to chew kale than lettuce. Kanji also mixes FEEL card, KISS card, EAT card and CANDY card to form a complicated and abstract word of FAVORITE MEMORY. He did this because when he was young, another male baby bonobo named Nyota liked eating candy and getting kisses.



Kanji also uses BIG card with WATER card to notate FLOOD. There was a flood in Iowa, where the laboratory that Kanji lives is located in. After the flood, the bonobos invented a term for they had seen. Bonobos also use BREAD card, CHEESE card, along with TOMATO card to ask for their favorite food. What would be bonobo’s favorite food? That is PIZZA!



What do you feel after reading these stories? What do you think about conduct ing various animal experiments, killing ani mals for fun, and eating animals? Do you think these activities can by morally and ethically supported? Perhaps the time has come to start discussions on how we should treat animals ethically.



해석 : 동물이 생각하고 말하게 됐을 때



동물은 인간과 어떻게 다른가? 혹은 인간은 동물과 어떻게 다른가? 인간도 역시 동물계에 소속돼 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우리 자신을 지적능력의 피라미드, 혹은 먹이사슬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시키곤 한다. 그러면서 우리 자신에게 다른 동물을 우리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이것은 정당한 일인가? 최근의 과학적 발견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동물은 인간 성인에 비교했을 때 특정영역의 능력이 조금 떨어질 뿐이다. 어떤 동물은 사실상 인간 어린이와 지적으로 감성적으로, 그리고 언어적으로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매일 몇몇 과학자들은 칸지와 함께 커피를 마시며 아침을 보낸다. 이것은 칸지의 생각이다. 하지만 칸지는 매우 말수가 적은 친구다. 몇십 개의 단어를 더 아는 것 같지만 공식적으로는 384개의 단어만 사용해서 말한다. 물론 그는 완벽한 목소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단어를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그는 목소리 대신 그림이 그려진 카드를 사용해서 말한다. 물론 당신이 29살된 칸지처럼 인간이 아닌 보노보라면 그렇게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보노보는 침팬지의 사촌으로 매우 얌전한 동물이다.



칸지는 그림이 그려진 색상 카드를 이용해 말한다. 그는 기존의 카드를 활용해 말할 뿐 아니라, 다양한 조합으로 카드를 섞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는 ‘느리게’라는 카드와 ‘레터스(양상추)’라는 카드를 섞어서 ‘케일(먹는 식물의 한 종류)’을 뜻하는 말을 만들었다. 칸지에게는 케일을 씹어먹는 것이 레터스를 먹는 것 보다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칸지는 또 ‘느끼다’, ‘키스하다’, ‘먹다’, ‘사탕’ 카드를 섞어서 ‘제일 좋은 기억’이라는 복잡하고 추상적인 단어를 만들었다. 그가 어렸을 때 니오타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애기 수컷과 함께 사탕을 먹고 서로 뽀뽀하는 것을 즐겼기 때문이다.



또 칸지는 ‘크다’라는 카드와 ‘물’ 카드를 함께 사용해 ‘홍수’라는 말을 만들었다. 칸지가 살고 있는 연구소가 위치한 미국 아이오와 주에 홍수가 발생한 적이 있다. 홍수가 잦아든 뒤 보노보들은 그들이 보았던 것(홍수)을 지칭하기 위한 단어를 발명한 것이다. 보노보들은 또한 ‘빵’ 카드, ‘치즈’ 카드를 ‘토마토’ 카드와 함께 사용해 그들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을 요구하기도 한다. 보노보들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무엇일까? 바로 피자다!



이 이야기를 읽고 나서 당신의 느낌은 어떠한가? 다양한 동물실험을 행하고, 재미를 위해 동물을 사냥하고, 동물을 먹는 것에 대해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러한 행위들이 도덕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가? 아마도 우리가 동물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시점이 온 것인지도 모른다.








 
본고는 타임-워너사의 기사를 기초로 국내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대폭 수정하고 재편집한 글입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0년 10월 과학동아 정보

  • skyrider 기자

🎓️ 진로 추천

  • 심리학
  • 철학·윤리학
  • 문화인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