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 염색체 20번 유전자 해독 완료

광우병 · 비만 극복길 앞당겨

인간 광우병, 성인형 당뇨병, 비만 등과 관련된 유전자가 포함된 20번 염색체의 염기서열과 유전자 분석작업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게놈연구 국제컨소시엄인 인간게놈프로젝트(HGP)의 영국기관인 웰컴트라스트 생거센터는 네이처 12월 20일자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인간 염색체 중 20번 염색체의 염기서열 해독과 유전자 분석을 끝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 책임자인 파나조티스 델로커스 박사는 “20번 염색체의 전체 DNA 가운데 유전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99.5%에 대해 99.99% 이상의 정확도로 염기서열을 해독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전체 23쌍의 염색체 가운데 21번, 22번과 함께 총 3개의 염색체 염기서열 해독작업이 마무리됐다. 22번은 지난 1999년 12월 최초로 완성돼 유전자 5백45개를, 21번은 2000년 5월 완성돼 2백25개의 유전자를 각각 확인한 바 있다.

20번 염색체는 인간 광우병, 자가면역질환, 당뇨병 등의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가 포함돼 있어 효율적인 치료법과 치료약 개발을 한 걸음 앞당길 수 있게 됐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번 염색체는 약 6천만kb(킬로베이스, 유전자의 단위)의 크기로 인간 게놈 전체에서 약 2%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전자 7백27개와 유사유전자 1백68개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팀은 아울러 20, 21, 22번 등 3개 염색체 내의 유전자 분석결과를 토대로 인간게놈에 존재하는 전체 유전자수를 3만1천5백개 정도로 추정했다. 2001년 2월 인간게놈프로젝트 완성이 발표될 당시, 유전자수는 2만6천-3만5천개로 추정됐었다.

 

20번 염색체의 염기서열 해독은 비만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2002년 01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의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