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란 새싹이 트면서 자연은 봄옷으로 갈아입는다.홍화,소목,치자를 이용해 노란색,빨간색,분홍색의 손수건을 만들어 봄을 축하하는 것은 어떨까.

왜그럴까?

염색이란 염료 분자와 천을 구성하는 분자를 결합시키는 것이다.한마디로 염색은 화학결합의 일종이다.그런데 빨래할때 옷에서 색이 빠지는 것처럼 염료 분자와 천이 약하게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이럴 때는 매염제를 이용해 염료를 천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소목을 이용해 붉은색을 만들 때 사용한 백반이 바로 매염제의 역할을 한다.

소목을 이용한 염색에서 매염제를 통해 색이 변한 것은 백반에 알루미늄(${AI³}^{+}$)이온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알루미늄 이온이 염료 분자와 공유결합을 하면 다른 구조의 물질을 만들어 색이 달라진다.전문적으로 염색을 하는 사람들은 구리이온(${Cu²}^{+}$)이나 철이온(${Fe²}^{+}$)등의 금속 이온을 이용해 다양한 색을 만들기도 한다.

홍화는 노란색 색소와 붉은색 색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붉은색 색소는 보통의 물에는 잘 녹지 못하고 알칼리성에서만 녹는다.노란색 염료를 다 빼낸 후에 알칼리성인 탄산칼륨수용액에 홍화를 넣으면 붉은색이 우러나오는 까닭이다.전통적으로는 가을에 볏짚단을 태워 생기는 재에 물을 부어 만든 잿물을 넣어서 붉은색 염료를 추출하기도 한다.이것도 잿물에 탄산칼륨 성분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 실험에서와 같이 식물성 염료를 사용하는 염색을 천연염색이라 한다.이 밖에도 동물성 염료와 광물성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천연염색이라 한다.1856년 화학염료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천연염료만 사용됐다.천연염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물염료는 식물의 잎과 꽃,열매,수피,뿌리 등이 사용된다.식물성 염료는 색소를 추출하고 염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염색과정이 매우 복잡하다.같은 염색재료라도 산지와 채취시기,보관상태 등에 따라 색깔이 조금씩 다르다.같은 홍화나 소목을 사용해도 다양한 색으로 염색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0년 04월 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화학·화학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