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환경기술 국내 최초 해외시장 진출

미생물 이용한 축산 정화조 대만과 판매계약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정화조의 핵심장치.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조 안에 미생물의 번식을 도와주는 접촉여재가 있다. 사진 아래는 여재에 붙어 사는 종벌레(Vorticella).
 

마침내 우리나라도 환경기술을 수출하는 나라가 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환경연구센터 박완철 박사는 지난 해 8월 산업화에 성공한 중소농가용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정화조'기술을 최근 대만기업 어킹 인더스트리얼사에 계약금 15만 달러와 향후 7년동안 세금을 제외한 총 매출액 5%의 기술료를 지급받는 조건으로 기술판매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계약금 이외에 연간 50만달러, 7년동안 총 3백50만 달러의 기술료 수입이 예상된다.

박완철 박사는 또 "중소농가의 축산 폐수문제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일본과도 기술수출에 대한 협의를 진행중"이라며 "앞으로 대만보다 시장이 큰 동남아 여러 국가도 축산폐수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 이 기술의 수출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소농가용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정화조는 박박사가 사업체 수탁과제로 1억2천여만원의 연구비를 투입해 2년여 연구끝에 개발했다. 이 축산정화조는 현재 충남 부여군 은산농공단지에 자리잡은 중소기업체 동성실업(45·사장 윤경녀)에서 월 1백개 정도씩 생산하고 있다.

KDST(KIST Dongsuug Septic Tank)로 이름지어진 이 정화조는 기존의 정화조인 부패형 탱크(液肥탱크)의 처리효율이 50% 미만인 데 비해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97%까지 처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침전분리실 폭기실 최종침전실 등에서 미처 분해되지 않은 폐수중의 유기물이, 최종적으로 순환조에 장착한 부유성 여재(濾材)에 부착해 살고 있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했다.

또 액비탱크는 월1회 청소비가 30만원 정도 들고 설치가격도 8백만~1천만원이 소요되지만 KDST는 2백80만~4백50만원으로 훨씬 싸 영세규모의 축산농가들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KDST는 소 돼지가 배출하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함유량 3천2백ppm의 고농도 축산폐수를 92ppm 이하로 완벽하게 처리해, 처리 후 바로 방류해도 환경에 거의 영향이 없다고.

현재 국내 전체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는 하루 1천9백60t으로 전체 폐수 방출량의 1%정도밖에 안되지만 생활 및 산업폐수오염도가 BOD 2백~3백ppm인데 비해 축산폐수는 3천~4천ppm으로 10배 이상 높다.
또한 72만여 가구(소 60만, 돼지 12만)에 이르는 축산농가 대부분이 별도의 정화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영세규모(소는 99%가 30마리 이하, 돼지는 96%가 1백80마리 이하 사육)에서 오염기여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값싸고 효율이 뛰어난 축산 정화조 보급이 절실하게 요구돼 왔다.

이같은 실정에 착안, 동성실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KDST개발에 성공한 박박사는 국내특허 2건을 취득한 데 이어 외국특허도 출원해 놓고 있다. 또한 동성실업이 매출액의 5%를 로열티로 KIST에 지급하기로 한 계약에 따라 박박사는 지난 해 1억원에 육박하는 수입을 얻게 됐다.

지난 92년 10월부터 KDST 생산에 착수해 현재까지 3천여 농가에 공급한 동성실업은 지난 해 50억원 가까운 매출실력을 올렸으나 올해는 1백억원 매출을 목표로 3월부터 연장 조업해 왔다고 한다.

한편 박박사는 "축사의 분(糞)을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퇴비 제조장치를 내년중에 개발, 대만 기업에 기술수출하기로 잠정 합의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4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일보사 편집부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축산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