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이오스피어2 위기맞아

과학적이 아니라 상업적이라는 비난

상업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바이오스피어2의 모습
 

미국 애리조나주에 민간 기업이 설치한 대형폐쇄생태계실험실 바이오스피어2가 작년 9월말에 가동을 시작해 1년이 넘어섰다. 총면적이 1만2천㎞나 되는 이 실험실은 그때까지 최대 규모를 자랑했던 옛 소련의 '바이오스'를 훨씬 능가하는 것. 이곳은 8명의 스탭진과 약4천종의 동식물이 식량과 공기 등을 자급자족하면서 2년을 견딘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그러나 스탭 중의 한명이 손가락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해 외부로 나오는 등 실험 시작 직후부터 문제가 노출되기 시작했다. CNN 보도에 따르면 현재 최대의 문제는 산소. 외계의 대기는 산소 비율이 21%이지만 바이오스피어2 내부는 16%까지 산소비율이 떨어지고 있다. 이미 전체 동식물의 13%가 죽어가고 있으며 속에서 활동하는 스탭진도 몸무게가 많이 빠지고 있다고 한다.

스텝 중 한사람인 제인 포인터씨는 "체중이 주는 것은 외계와는 다른 식생활에 급격히 적응하다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하지만 전체 스탭의 몸무게는 벌써 평균 14%나 줄고 있다.

중간에 공기 누수가 광범위하게 있었던 사고 이외에도 손가락 치료를 받고 다시 실험실 안으로 들어간 스탭은 무엇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물자가 가득찬 보따리를 가지고 들어갔다. 이를 두고 주위에서는 이 계획의 과학적 가치에 의문을 표시하면서, 이 회사가 상업적 목적만을 노리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스텝의 책임자인 로이 월포드는 "과학적 연구가 지체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얼마 안있어 반드시 회복할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1992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일보사 편집부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