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꿀꺽! 수학 한 입] 이건 몰랐어! 동화 속 이야기 2. 피노키오는 거짓말을 몇번했을까?

 

“꼭두각시 인형 피노키오, 나는 네가 좋구나~.” 동요에도 등장할 만큼 오랜 시간 어린이의 사랑을 받아온 동화 속 주인공, 피노키오! 거짓말을 하면 피노키오처럼 코가 늘어날까 걱정해본 적 있나요? 피노키오의 코는 과연 몇 번이나 늘어날 수 있었을까요? 피노키오 코의 비밀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봐요!

 

거짓말을 하면 코가 쑥쑥! 이탈리아 동화 ‘피노키오’

 


 

이탈리아의 목수 제페토는 어느 날 친구로부터 마법의 나무토막을 얻었어요. 이 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은 자리를 털고 일어나 제페토에게 말을 걸고, 장난을 치는 등 살아있는 어린이처럼 행동했지요. 제페토는 인형에게 ‘피노키오’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학교에 보내주었어요. 학교로 가던 피노키오는 서커스단을 구경하려다 다른 길로 새고 말았고, 여우와 고양이 등 나쁜 친구들을 만나 긴 모험을 하게 돼요.

 


 

1883년 이탈리아 작가 카를로 콜로디가 쓴 동화 ‘피노키오’의 줄거리예요. 이야기의 주인공 피노키오는 목수인 제페토가 잣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이에요.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쭉하게 늘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요. 거짓말을 할 때마다 코가 자라나듯, 거짓말은 하면 할수록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된다는 교훈을 줘요. 피노키오는 큰 인기를 얻어 여러 애니메이션으로도 만들어졌어요. 한 번 거짓말할 때마다 두 배씩 늘어난다는 피노키오의 코, 과연 몇 cm까지 늘어났을까요?

 

 

거짓말 한 번에 코가 2배!

 

콜로디의 동화 속에서 피노키오의 코는 약 2.5cm라고 설명돼 있어요. 하지만 거짓말을 많이 하면 코가 자꾸만 늘어나 방문 밖까지 삐져나갔지요. 진실을 말하면 다시 줄어들기는 하지만, 코가 방문 밖으로 나갈 만큼 길어진다면 움직이는 게 매우 어려웠을 거예요.

 

 

2014년 영국 레스터 대학교 학제과학센터의 스테판 르웰린 박사는 ‘피노키오는 최대 몇 번까지 거짓말할 수 있었을까?’라는 주제의 연구 내용을 발표했어요. 르웰린 박사의 계산에 따르면 피노키오의 머리는 약 4.18kg, 코는 약 6g의 무게였어요. 거짓말을 해서 코가 길어지면 그만큼 무게도 무거워지지요. 르웰린 박사는 잣나무로 만들어진 피노키오의 목이 1t까지 견딜 수 있었을 것으로 추측했어요. 계산해 보면 코의 길이가 208m가 될 때까지만 무게를 버티는 거예요. 

 

피노키오는 한 번 거짓말할 때마다 코가 2배만큼 길어지는데, 거짓말을 13번 하면 코의 길이는 약 205m, 14번 하면 코의 길이는 약 410m가 돼요. 르웰린 박사의 계산에 따르면 피노키오는 최대 13번까지만 연달아 거짓말할 수 있어요! 아무리 장난꾸러기 피노키오라도 14번의 거짓말은 버틸 수 없었겠지요?

 

 

 

 

피노키오 코 모양비밀이 있다?

 

여러 그림과 애니메이션 속 피노키오의 코는 대부분 둥근 모양으로 그려졌어요. 피노키오가 거짓말을 해서 코가 늘어나면 길고 둥근 막대 같은 모습이 더욱 잘 드러나지요. 왜 피노키오의 코는 삼각형이나 사각형이 아니었을까요?

 

자연에서 나무의 줄기는 대부분 원 모양이에요. 나무가 자랄수록 나무의 세포도 자라며 서로를 끌어당기고, 이때 원 모양을 이루게 돼요. 세포가 모여 만들어지는 나무의 몸통과 가지도 마찬가지로 원 모양이 되지요. 

 

줄기의 자른 면이 원이면 사각형. 삼각형일 때보다 넓이가 더 넓어서 물과 영양분을 위쪽 가지로 보내기에 좋아요. 또 각기둥일 때보다 원기둥 형태일 때 햇빛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지요. 낮 동안 넓은 면에 골고루 햇빛을 받으니까요. 피노키오는 마법의 잣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코도 나뭇가지처럼 둥근 게 아닐까요?  

 

2022년 22호 어린이수학동아 정보

  • 조현영 기자 기자
  • 도움

    강규석(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교수) 참고 Steffan Llewellyn <How many lies could Pinocchio tell before it became lethal>
  • 일러스트

    연지
  • 디자인

    오진희

🎓️ 진로 추천

  • 문화콘텐츠학
  • 심리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