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

이모티콘에서 이모지로!

가족이나 친구와 나눈 카톡에서, 혹은 인터넷 댓글에서 다양한 표정으로 울고 웃는 노란색의 동그란 얼굴을 본 적 있나요? 이것이 바로 ‘이모지’랍니다. 이모지는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림 문자예요. 표정은 물론, 동물, 음식, 운동, 물건, 깃발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지요.


이모지가 메신저에서 흔히 쓰는 이모티콘과 같은 거라고 생각한다면 틀렸어요. 이모티콘은 문자, 숫자 등 여러 기호를 조합하여 만든 그림에서 시작됐어요. 1982년,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컴퓨터과학자인 스콧 팔먼이 제안하면서 유명해졌지요. 예를 들어 그가 제안한 ‘스마일리’ 이모티콘(:-))은 콜론(:), 마이너스(-), 오른쪽 괄호())를 합쳐 만들어졌어요. 요즘엔 메신저에서 쓰는 캐릭터나 그림도 이모티콘이라고 부르지요.


이모티콘과 달리, 이모지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고유한 그림 문자예요. 컴퓨터에서 쓰이는 표준 언어 코드인 ‘유니코드’에 입력되어 있어 여러 기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요. 이모지는 일본의 디자이너 구리타 시게타카 덕분에 세상에 널리 퍼졌어요. 일본의 통신 회사 NTT 도코모에서 일하던 그는 1999년, 이메일로 보낼 수 있는 그림 문자를 만들었어요. 이모지라는 이름도 ‘그림 문자’라는 뜻의 일본어 ‘絵文字(에모지)’에서 왔지요. 이후 2000년대, 미국의 IT 기업 구글과 애플의 기기에 이모지 입력 기능이 추가되면서 이모지가 전 세계로 퍼지게 되었답니다.

 

●인터뷰 "여러분은 지금 제가 만든 이모지를 쓰시고 있답니다!”

_구리타 시게타카(드왕고 컴퍼니 최고 관리 책임자)


 Q왜 이모지를 만들게 되었나요?
저는 1999년 일본의 통신 회사인 NTT 도코모에서 일하면서 이모지를 만들었어요. 당시 일본에서는 휴대폰으로 이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었지만,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 전송되는 문자 수가 매우 적었어요. 그래서 감정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할 수 있도록 그림 문자를 만들었지요.


 Q어떻게 이모지를 만들었나요?
문자를 조합해 만드는 이모티콘은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썼어요. 저는 이런 이모티콘과 픽토그램등을 참고하여 176개의 이모지를 만들었어요. 이 이모지는 가로세로 12픽셀의 크기로, 하나에 겨우 18바이트의 용량만 차지했지요.


Q이모지가 이렇게 많이 쓰이게 될 거라고 예상하셨나요?
전 세계적으로 이렇게 유행할 줄은 몰랐어요. 구글과 애플의 스마트폰에서 이모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스마트폰이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2016년부터는 제가 만든 이모지가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의 현대 미술 컬렉션에서 전시되고 있어요!


Q제일 좋아하는 이모지가 무엇인가요?
긍정적인 스마일리가 가장 이모지다운 이모지라 생각합니다.

2019년 1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창욱 기자 기자

🎓️ 진로 추천

  • 문화콘텐츠학
  • 언어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