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과학동아>;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세균이나 곰팡이처럼 지구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수많은 작은 생물들이 살고 있어요. 이런 미생물들은 현미경으로 관찰해야만 볼 수 있지요.


그렇다면 미생물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네덜란드의 과학자 ‘안토니 반 레벤후크’랍니다.


레벤후크는 1632년 10월 24일 네덜란드의 델프트에서 태어났어요.


그는 전문적인 과학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로버트 훅’이 쓴 현미경에 대한 책을 읽고 현미경에 푹 빠졌지요. 훅은 현미경을 만들어 처음으로 세포를 관찰한 영국의 과학자랍니다.


레벤후크는 직접 현미경을 만들어 곤충, 식물, 머리카락, 손톱 등 온갖 사물을 관찰했어요. 그가 만든 현미경은 훅이 만든 것보다 성능이 좋아서 사물을 10배 더 자세하게 볼 수 있었지요.


어느 날 그는 현미경으로 물을 관찰하다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꿈틀대는 생명체들이 수없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최초로 미생물을 발견한 순간이었답니다.


레벤후크는 현미경에서 관찰한 것들을 그림으로 꼼꼼히 그렸어요. 그리고 그 결과를 여러 과학 기관에 보냈지요. 그 덕분에 사람들은 미생물의 존재를 알게 되었답니다.

2017년 20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