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고, 허리야~, 다리야~. 나이를 먹으니 삭신이 쑤시는 닥터 그랜마예요. 지구를 정복하려면 몸이 건강해야 하는데, 젊고 튼튼한 장기로 갈아 끼우는 방법은 없을까요? 앗, 그런데 돼지 심장을 가진 원숭이가 있대요. 어떻게 된 일인지 한번 물어 봐야겠어요.
 


너는 어떤 동물이지?

끼끼, 저는 사람과 가장 많이 닮은 동물이에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사람에게 직접 적용하기 전에 우리에게 먼저 실험한답니다. 또 우리들은 아주 원시적인 종부터 진화가 많이 된 종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어, 과학자들이 우리를 보고 진화와 행동양식을 연구하기도 해요.

어떻게 돼지의 심장을 갖게 됐니?

심장이나 콩팥이 망가져 새 장기를 이식받으려는 환자는 많지만 장기는 부족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 최근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윤익진 교수 연구팀은 돼지의 심장과 콩팥을 원숭이 두 마리에게 각각 이식했어요. 한 원숭이는
원래 심장을 그대로 두고 돼지 심장을 하나 더 이식했고, 다른원숭이는 콩팥 두 개 중 하나를 돼지 콩팥으로 바꾸었지요. 원숭이들은 이식 거부반응 없이 25일, 26일을 살았어요. 이식 거부반응이란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이식했을 때 면역세포가 이것을 병원균으로 인식하고 공격하는 현상을 말해요. 그래서 이식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없앤 다음 이식해야 해요

그런데 왜 돼지의 장기를 골랐을까?

돼지는 장기의 크기가 사람의 장기와 비슷하고, 사람처럼 잡식성이기 때문에 생리적으로도 비슷하기 때문이에요. 침팬지와 고릴라는 사람과 많이 닮았지만 심장이작아 사람 몸속에서 혈액을 온몸에 보내기가 어려워요. 돼지가 성장이 빠르고 새끼를 많이 낳는 점도 장기 이식 실험을 하는 데 유리하답니다. 유전적으로도 사람과 많이 비슷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이식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없앤 돼
지의 장기를 이식하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윤 교수팀이 이번에 사용한 돼지는 2009년 우리나라에서 만든 장기이식용 복제 미니돼지인 ‘지노’의 자식이었어요.

나도 다른 동물의 장기로 바꿀 수 있을까?

아직까지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는 수술법은 완성하지 못했어요. 이번에 실험에 성공한 원숭이 들도 이식 거부반응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25일 정도밖에 살지 못했거든요. 앞으로는 부작용 없이 돼지 장기를 이식하는 방법을 많이 연구해서 여러 사람들의 목숨을 구했으면 좋겠어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2년 1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어린이과학동화 편집부
  • 기타

    조주희

🎓️ 진로 추천

  • 의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