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99.jpg)
우아~, 밤 사이 내린 눈이 또 다 얼어붙었어! 미끄러워~! 정말 얼음은 쓸모 없다니까!
거기 너, 얼음의 진가를 모르는구나. 나 얼음 요정이 가르쳐 주지.
응? 네가 요정이라고? 잠깐만! 대체 날 어디로 데려가는 거야?! 너 얼음의 진짜 모습이 뭔지 알아? 바로 얼음 결정이야. 네가 알다시피 얼음은 물이 얼어서 만들어져. 그래서 구름이나 공기 속의 수분이 얼어서 생기는 눈이나 서리도 얼음에 포함되지. 얼음 결정은 대부분 육각형 모양인데, 그건 물이 얼면서 물 분자들이 육각형 모양으로 늘어서기 때문이야. 하지만 눈 결정 이외의 결정들은 기온이 조금 높아지면 정육각형이 아닌 다른 모양이 되기도 해.
앗, 이건 눈 결정이다! 이런 모양 많이 봤어.
맞아. 눈 결정은 구름 속 수분이 얼면서 결정 형태로 뭉친 거야. 봐 봐! 정말 육각형 모양 맞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0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02.jpg)
▲겨울철 서리의 모습. 서리는 영하의 추운 겨울철 수증기가 이슬이 되어 땅에 내렸다가 얼어붙어 생기는 것이다. 서리가 생길 때의 기온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서리가 생길 수 있다.
예술이 된 얼음
너무 추워~! 이번엔 날 또 어디로 데려온 거야? 우리나라 맞아?
후훗, 여기는 알래스카야. 이건 작년 겨울에 월드 아이스 아트 챔피언십 대회에서 1등을 수상한 얼음 조각 작품이야. 이 작품의 이름은 ‘Spring’, 즉 봄이란 뜻이지. 얼음이 정말 맑고 투명하지? 여기에는 얼음 요정만의 비법이 있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03.jpg)
투명해 보이는 물이라도 그 속에는 공기가 조금 녹아 있어. 그래서 물을 한 번 끓여서 물 속 공기를 없앤 뒤 얼리는 거야. 그러면 공기 방울이 없
는 깨끗하고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어.
와, 어떻게 그런 것도 알아? 그런데 바깥에 오래 놔두어도 얼음은 왜 녹지 않지?
여기가 엄청 추우니까 그렇지. 물론 아주 무겁게 눌러 주어도 얼음이 녹긴 해. 하지만 이 조각상의 밑부분은 무겁게 눌리는데도 많이 녹지 않았지? 공기방울 같은 불순물이 없는 투명한 얼음으로 만들어서 그래. 불순물이 방해하면 얼음속 물 분자들이 더 잘 흩어져 얼음이 빨리 녹아 버리거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04.jpg)
해리 포터를 테마로 한 2008 얼음 조각상 축제의 한 장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05.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06.jpg)
환상의 얼음 세계
우와, 여긴 어디야? 혹시 날 얼음 요정의 나라로 다시 데려온 거야?
여긴 ‘빙등제’라는 축제가 열리고 있는 중국의 하얼빈이야. 빙등제에서는 얼음 조각상이나 얼음 건축물 속에 전등을 넣어 화려하게 밝히지.
멋지다~! 이 많은 얼음을 다 어디서 가져온 걸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2/C201002N001_img_07.jpg)
송화강 얼음은 도대체 얼마나 크기에 저렇게 큰 얼음 건물을 만들어?
저건 한 개의 얼음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야. 얼음을 여러 개 겹쳐 붙여서 큰 건축물을 만드는 거야.
얼음은 미끄러운데 어떻게 얼음끼리 붙지? 얼음에만 쓰는 풀이 있어?
얼음끼리 맞붙이면 두 얼음이 맞붙은 표면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조금 녹게 돼. 그렇지만 아주 춥기 때문에 녹은 부분이 금세 다시 얼게 되지. 그러면서 두 얼음이 딱 붙어 버리게 되는 거야. 와, 저기 봐! 저 성은 우리 얼음 요정의 나라에 있는 것과 정말 꼭 닮았는걸? 어서 들어가 보자!
얼음은 그 자체로 예술인데다가, 아름다운 조각상으로도 변신할 수 있구나. 나도 집 앞에 언 얼음을 모아서 조각상을 만들어 봐야겠어. 앗! 얼음 요정, 나랑 같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