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인슈타인 뇌에 담긴 비밀

때는 1970년 중반. 월간 뉴저지 기자인 스티븐 레비가 성급히 썰렁 홈즈를 찾아왔다. 이유는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을 가져간 과학자들을 함께 찾아보자는 것. 아인슈타인의 검시를 담당한 토머스 하비 박사는 연구를 위해 세 명의 과학자에게 뇌 조각을 나눠 주었고, 스티븐 레비는 세 명의 과학자들이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을 통해 무엇을 알아 냈는지 세상에 알리겠다는 것이다. 평소 아인슈타인을 존경하던 썰렁 홈즈는 스티븐 레비와 함께 세 명의 과학자를 찾아 나섰다. 과연 아인슈타인의 뇌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혹시 무슨 보물 지도라도 있는 것은 아닐까?

뇌 조각 속에 미로가 있다?!

가장 먼저 버클리대학교의 매리언 다이아몬드 박사를 찾아갔다. 박사는 스티븐 레비 기자와 썰렁 홈즈를 반갑게 맞이하고는 문을 단단히 잠갔다. 뭔가 중요한 비밀이 있다는 뜻이었다. 박사의 집에는 조그만 연구실이 있었고 그 안에는 커다란 그림 같은 것이 있었다.
“아인슈타인 박사의 뇌 조각을 자세히 관찰해 보니, 무슨 미로 같은 것이 나왔답니다. 그 미로는 어떤 알파벳 문자를 가리키지요.”
아인슈타인의 뇌 속에 미로가? 그 미로 끝에 있는 문자는 과연 무엇을 의미할까?
 

숫자들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뇌 속에 담긴 미로를 본 스티븐 레비와 썰렁 홈즈는 무엇인가를 알아 내고는 다시 길을 나섰다. 이번 에는 앨라배마대학교의 브리트 앤더슨 박사를 찾아갔다.
“아인슈타인 박사는 정말 타고난 천재입니다. 저는 뇌 조각 속에서 여러 가지 숫자의 조합을 알아 냈답니다. 무슨 숫자들의 나열 같은데, 일정한 규칙이 들어 있더라고요. 그 중 한 개의 숫자가 비어 있었지요. 이건 상상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이번에는 숫자들의 조합? 그 중 빠져 있는 한 개의 숫자는 무엇일까? 썰렁 홈즈와 함께 다시 한 번 아인슈타인 뇌에 담긴 비밀을 찾아보도록 하자.
 


비밀 편지를 담은 뇌 조각

기대했던 것보다 더 놀라운 비밀이 담겨 있는 아인슈타인의 뇌. 썰렁 홈즈와 스티븐 레비는 비밀을 알아 내면서 식은땀까지 흘렸다. 이 모든 사실을 세상에 알리면 분명 역사에 남을 위대한 사건이 되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생각들로 흐뭇해하며 세번째 과학자인 맥마스터대학교의 위텔슨 박사를 찾아갔다.
“제가 발견한 것은 더욱 놀라운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에는 어떤 문자들이 들어 있었어요. 마치 무슨 비밀 편지 같은 것이었죠. 우연이었을까요? 아니면 누군가 아인슈타인의 뇌에 이런 것을 심어 놓았을까요? 사실 이것은 어떤 알파벳 문자를 뜻합니다.” 과연 비밀 문자 속에 담긴 알파벳은 무엇일까?
 

아인슈타인의 공식

미로에서 비밀편지에 이르기까지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을 통해 알아 낸 사실은 정말 믿을 수가 없는 일들이었다. 썰렁 홈즈와 스티븐 레비는 마지막으로 프린스턴 병원의 엘리엇 크라우스 박사에게로 갔다. 이곳에는 아인슈타인의 뇌가 보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뇌 조각이 아니라 뇌 자체를 보관하고 있다면 어쩌면 더욱 놀라운 비밀을 알아 낼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엘리엇 크라우스 박사 역시 약간 긴장을 한 듯 홈즈를 맞아 주었다.
“믿기 어렵겠지만 뇌 전체를 연구하던 중에 놀라운 사실을 또 하나 밝혀 냈답니다. 어떤 암호 같은 것이었는데 해석을 하니 다음과 같았답니다.”
‘미로를 통과하고 숫자의 길을 걷고 비밀편지를 읽고 뇌를 보관한 통의 첫 글자를 기억하라. 그러면 그것이 공식이니라.’
아인슈타인의 뇌는 처음 코스터 사과주(CostaCider)라고 쓰인 곳에 보관되어 있었다. 과연 암호에 담긴 공식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썰렁 홈즈의 정답

첫 번째 문제의 답


미로를 따라가 보자. 미로의 끝에는‘E’라는 문자가 나타나 있다. E…과연 무슨 뜻이?
 


두 번째 문제의 답

이런 숫자의 나열을 피보나치수열이라고 한다. 앞의 두 수를 더해서 다음 수로 이어지는 수의 나열로 0+1=1, 1+1=2, 1+2=3, 2+3=5, 3+5=8, 5+8=13…. 따라서 비워둔 자리의 수는 2다.

세 번째 문제의 답

비밀 편지를 자세히 살펴보자. 전체의 모습에서 알파벳‘M’ 을 찾을 수 있다.
 


네 번째 문제의 답

아인슈타인의 뇌는 코스터 사과주(Costa Cider)라고 쓰인 곳에 보관되어 있었다. 앞 글자는‘C’다. 첫 번째 문제 미로가 뜻하는 것은‘E’, 두 번째 문제의 답은‘2’, 세 번째 문제의 답은‘M’, 네 번째 문제에서 나온 첫 글자는‘C’다. 모든 것을 조합해 보자.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공식인 E=MC2 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꿈꾸는아인슈타인….

이럴 수가…. 아인슈타인의 뇌 속에는 이미 E=MC2이라는 공식이 들어 있었다고? 이런 엄청난 사실을 알리기 위해 썰렁 홈즈는 신문사로 달려갔다. 너무나 열심히 달려가다가 그만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고 말았다. 엥? 그런데 웬걸. 깨어 보니 썰렁 홈즈의 방이 아닌가? 그럼 이 모든 것이 꿈? 썰렁 홈즈는 아인슈타인의 생애를 담은 만화를 보고 있다가 그만 잠이 들어 버렸던 것이었다.
으…, 그럼 뇌에 담긴 모든 비밀도 모두 꿈이었단 말인가….

2005년 08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김원섭 기자

🎓️ 진로 추천

  • 심리학
  • 물리학
  • 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