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별의 탄생과 죽음

별도 사람처럼 태어나서 반드시 죽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질량이 크고 커다란 별과 질량이 작고 조그만 별 중 누가 더 오래 살까요? 사람의 경우는 신생아의 몸무게로 그 아이의 수명을 알아 낼 수 없지만, 별의 세계에서는 태어날 때의 질량으로 그 별의 수명을 알 수 있답니다. 질량이 태양 정도 되는 별은 약 100억 년을 살고, 태양의 수십 배에 이르는 별은 1억 년을 채 못 살게 됩니다. 별들의 운명은‘굵고 짧게’아니면‘가늘고 길게’랍니다.
태양은 지금까지 약 50억 년을 살아왔으므로 앞으로도 50억 년은 더 살겠지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별의 중심에는 무거운 물질들이 계속 쌓이게 됩니다. 1억 도가 넘게 되면 헬륨이 모여서 탄소가 만들어지고, 더 높은 온도가 되면 질소와 산소 같은 물질이, 10억 도 이상의 온도가 되면 철이 만들어집니다. 즉, 수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 중 철보다 가벼운 물질들은 별 내부에서 만들어집니다.
별은 죽을 때가 되면 점점 부풀어 올라 적색거성이 됩니다. 적색거성의 단계에 이른 별은 그 지름이 처음보다 200배 이상 커지게 됩니다. 태양의 경우, 수성과 금성을 삼킨 후 거의 지구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자, 부풀대로 부풀어 오른 별은 마지막에 어떻게 될까요? 질량이 태양과 비슷하거나 작은 별은 중심 부분이 강하게 수축되고, 껍질은 그대로 외부로 날아가게 되어 백색왜성이 됩니다. 태양보다 큰 별들은 적색초거성의 단계를 지나‘초신성 폭발’이라고 하는 거대한 폭발을 일으키고 중심에는 블랙홀이나 중성자성을 남기게 됩니다. 폭발시 우주의 흩뿌려진 물질은 다시 뭉쳐 별이나 지구와 같은 행성을 만들게 됩니다. 즉, 지구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물질들은 별에서 비롯된 것이고, 그 속에서 태어난 인간도 역시 별의 일부입니다. 인간의 뿌리가 별이라니 우주가 좀 더 친근하게 느껴지지 않으세요?

 

 정보

  • 이태형
  • 사진

    신정민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지구과학

다른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