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삼진을 잡아라!!”

9회말 투아웃 만루! 볼 카운트는 투 스트라이크 스리 볼! 게다가 상대 타자는 홈런왕 출신의 무시무시한 강타자! 긴장한 투수… 심호흡을 한번 한 후 혼신의 힘을 다해 공을 던집니다. 투수의 손을 떠나 힘껏 날아가는 야구공…. 과연 승부의 결말은 어떻게 될까요?!


 
에서 제작한 시카고 컵스의 투수‘마크 프라이어’." src="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0420/C200420N004_img_01.jpg" />;


 
야구는 과학이 많이 숨어 있는 운동이랍니다. 특히 투수가 던지는 공에는 중요한 과학이 숨어 있어요. 투수가 던진 공이 공기속을 뚫고 나아갈 때는 그 주위에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일정한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집니다.
투수가 공에 회전을 많이 주면 공의 윗부분은 공기 흐름이 빨라지고 아래쪽은 느려짐으로써 공을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리는 양력이 생기게 된답니다. 공은 위쪽으로 떠오르게 되는 거죠. 공기가 빨리 흐르는 곳은 압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랍니다. 회전을 주지 않으면 위아래의 공기 흐름이 같아서 움직임에 변화가 없지요. 실제로 삼진을 잘 잡는 투수들 중엔 공의 회전을 잘 다루는 투수가 많답니다.


 
공의 회전

 정보

  • 사진

    김경우 기자

🎓️ 진로 추천

  • 물리학
  • 화학·화학공학
  • 기계공학

다른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