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과 남산 타워에 다녀왔어요~! 직접 찍은 이 사진, 멋지지 않나요? 전 이 사진의 CCL을 ‘저작자표시-변경금지(BY-ND)’로 공유합니다!BY-ND는 저작자와 출처 등을 표시하면 영리 목적의 이용은 가능하나, 변경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당첨자는 1월 1일까지ran ...
길잡이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우수 미션 참가자를 소개합니다!•이호정(hojeongi0203)CCL 미션 수행합니다! 제 방에서 밤에 찍은 사진을 공유합니다. 너무 예쁘죠?저작원은 ‘저작자표시-변경금지’입니다.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하는 ...
경북 포항 호미곶에 있는 ‘상생의 손’을 휴대전화로 찍은 사진인데요. 저는 이 사진의 CCL(자유이용허락표시)을 CC-BY-NC-SA으로 설정했답니다^^! 당첨자는 11월 1일까지ran@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 Mission여러분이 미디어에서 만난 ...
싶은 사진과 그 이유를 어과수 홈페이지에 올리고, 내 저작물을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 CCL로 표시해 주세요. 소정의 선물을 드리니 많은 참가 바라요!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주 각계 연구자의 글을 싣는 비영리 매체 ‘The Conversation’에 게시된 글로 저작권 규정(CCL)에 따라 번역, 재게시했습니다. 남녀의 뇌 차이를 연구하기 시작한 건 19세기, 미국 의사인 사무엘 조지 모턴이 인간 두개골에 씨앗과 납으로 된 탄환을 부어 부피를 측정하면서부터다. 19세기 프랑스 의학자 ...
콤부차의 해독 효과를 조사했다. 쥐에게 간에 독성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사염화탄소(CCl4)를 일주일에 두 번씩 30일 동안 먹이고, 매일 콤부차를 줬다. 그리고 간염의 정도를 알려주는 대표적 표지인 간세포 내 효소(ALT, AST)를 측정했다. 수치가 낮을수록 간이 덜 손상됐다는 뜻이다. 실험 결과, ...
출력해보는 활동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박 교사는 저작권법을 어기지 않도록 CCL 같이 허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음악을 찾도록 했다. 학생들은 영상에 필요한 음악을 찾아다니면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음악인지 확인하고, 자연스럽게 저작권의 중요성에 대해 배웠다.매곡중 학생들이 ...
실험밀도가 다른 물질, 물과 사염화탄소를 분별깔때기로 분리해보자. 사염화탄소(CCl4)는 물보다 밀도가 커서 물 아래로 가라앉는다. 사염화탄소는 물과 같이 무색이므로 경계를 뚜렷하게 하기 위해 요오드를 녹여 실험했다. 혼합된 상태에 요오드를 녹이면 요오드 역시 무극성물질이어서 극성물질인 ...
열이 나면 사람들은 해열제를 먹는다. 체온이 높아지면 세포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열이 나는 증상이 세포에게 나쁘기만 할까.최근 ... 붙어있었다. 에반스 박사는 이 이유를 “열이 림프구와 HEV를 흡착시키는 단백질인 ICAM-1과 CCL21라는 수용체를 활성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