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7만 3197개 은하를 담은 ‘주요 은하 목록(PGC)’, 11만 8218개 항성을 분류한 ‘히파르코스 목록’ 등이 훨씬 정확하고 자세한 우주의 길잡이다. 하지만 밝고 잘 보이는 천체들이 모여있다는 점에서, 메시에 목록은 여전히 낭만적인 목표다. 하룻밤을 꼬박 새게 만드는 천체 관측의 매력이 ...
약 20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별의 좌표를 기록하던 별 지도가 발견됐습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의 빅토르 지셈버그 연구원은 ... 누구일까?Part3.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Part4.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 ...
히파르코스가 별의 좌표 기록을 남긴 것처럼 우리나라 역시 아주 오랜 천문학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에는 어떤 천문학 기록이 남아 있는지 살펴볼까요? 누구나 알기 쉽게 그림으로 그린 별 지도우리나라는 청동기 시대 때부터 하늘을 관측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고인돌 ...
계산한 결과, 이 별의 좌표는 기원전 129년에 작성됐다”고 말했어요. 기원전 129년은 히파르코스가 천문학자로서 활동했던 시기와 일치하죠. ●세차운동 : 팽이가 비틀거리며 회전하는 것처럼 회전하는 물체의 축이 틀어지는 일. 지구의 자전축도 이 운동으로 매년 조금씩 틀어진다. CCR에서 ...
행성의 위성, 은하계 밖 퀘이사와 다른 은하들도 관측할 수 있었죠. 게라 연구원은 “히파르코스 위성과 가이아 위성이 그린 별 지도는 천문학자들에게 보물”이라고 말했어요 ...
이런 질문들에 답할 수 있는 연구를 말이에요. 별의 등급에 따른 밝기 차이히파르코스는 인류 최초로 별의 밝기에 따라 등급을 매겨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매겼다. 이 체계는 개편을 거쳐 지금까지도 별의 밝기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
별이 밝을수록 등급의 숫자가 작아지고, 어두울수록 숫자가 커지지요. 태양은 무려등급! 히파르코스가 가장 밝은 별에 매긴 1등급보다도 훨씬 작은 숫자니, 태양이 얼마나 밝은지 상상이 가지요? 그렇다면 태양이 안 보이는 깜깜한 밤에는 어떤 별이 가장 밝게 보일까요? 바로 시리우스라는 ...
별들을 6등급으로 구분했답니다.이후 19세기 영국의 과학자 노먼 포그슨이 빛 측정장치로 히파르코스가 구분한 1등급과 6등급의 밝기 차이가 약 100배라는 사실을 밝혔어요. 예를 들어, 1등급 별의 밝기가 전구 100개라면 6등급 별의 밝기는 전구 1개에 해당해요. 이에 과학자들은 1등급 별과 6등급 별의 ...
기록한 별의 위치를 검토했어요. 그러자 시리우스를 포함한 몇몇 별들의 위치가 히파르코스의 기록보다 0.5° 이상 어긋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별들의 고유운동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미하지만, 수천 년이 지나자 천문학자들이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별의 위치가 달라진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