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조 다스쿠 특별교수는 이런 특징에 주목했어요. 그리고 킬러 T 세포의 수용체(PD-1)에 항체를 붙여, 암세포 단백질(PD-L1)이 붙을 자리가 없게 만들었지요. 그러자 킬러 T 세포가 기능을 회복해 다시 암세포를 공격하기 시작했어요. ‘면역 항암 치료법’이 탄생한 순간이었지요. 앨리슨 교수와 다스쿠 ...
T 세포,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이후 B 세포와 B 세포가 만드는 항체에 대한 연구가 이어집니다. 이미 1790년대에 백신의 시초인 종두법●이 개발되어 백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던 덕분이었지요. 반면 T 세포 연구는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됐어요. 1973년, 호주 ...
외부 물질, 즉 항원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항원과 맞서 싸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항체뿐만 아니라 우리 몸을 지켜주는 파수꾼들은 무궁무진하다는 사실!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똑똑한 면역세포들을 소개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봄철 면역은 T세포에게 부탁해 ...
또다시 몸속으로 들어오면, 비만세포가 활성화됩니다. 비만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해 있던 항체에 알레르기 항원이 붙으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분비하는 거죠. 그 결과 가려움, 두드러기, 재채기, 콧물, 붓기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 중 대표적인 것이 ...
탄소 양자점이 특정 소재와 결합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탄소 양자점은 항체, 펩타이드(peptide・아미노산이 서로 연결된 생체 물질), 압타머(aptamer・특정 물질에 특이적 결합 능력을 갖는 DNA 혹은 RNA) 등과의 표적성 물질 결합을 통해 목표로 하는 기관 또는 장기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
당단백질이 붙어 있는데, 이중 어떤 당단백질에는 항체가 달라붙습니다. 이 당단백질과 항체가 붙어 뭉치면 피가 굳는 응집반응이 일어나죠.따라서 응집반응을 막기 위해 항원의 종류에 따라 혈액형을 분류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혈액형은 1901년 오스트리아의 의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한 ...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해 일반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이때 항암제와 항체를 결합하는 도구로서 클릭화학이 쓰인다. 최 교수는 “이외에도 고분자를 클릭화학으로 결합시켜 3D로 세포를 배양하거나, 어떤 물질의 표면에 다른 물질을 붙여 표면의 성질을 바꾸는 표면공학 등 다양한 ...
적은 걸까요?연구팀은 어린이가 성인보다 ‘1차 방어작용’이 강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항체가 생성되는 ‘2차 방어작용’이 약하게 일어난다고 추측했어요. ‘1차 방어작용’은 바이러스가 침입하자마자 나타나는 면역 반응으로, 피부와 점막에서 눈물, 침, 땀 등이 분비되어 바이러스 침입을 ...
중화시키는 능력을 보면 그 차이가 확연하다. 원본 바이러스(WA1/2020)와 비교했을 때, 항체가 BA.5를 중화시키는 능력은 21분의 1 수준이다. doi: 10.1056/NEJMc2206576 우리 몸의 면역체계와 기존 백신이 BA.5를 잘 제거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6월 30일 미국식품의약국(FDA)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사들에 BA.5와 BA.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