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진 우주를 떠도는 소행성 류구의 표면에서 암석 시료 5.4g을 수집했어. 2020년 12월, 하야부사 2호는 류구의 시료를 담은 캡슐을 지구로 떨어뜨리는 데 성공했어. 그리고 지난 3월 21일, 일본 훗카이도대학교 외 국제 공동 연구팀은 시료에서 지구 생명체를 이루는 핵심 물질 중 하나를 발견했다고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기다리고 있다. 오시리스-렉스는 하야부사 2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시료를 채취해서 더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외계에 유기물이 풍부하다면, 첫 번째 생명이 외계에서 먼저 탄생했을 가능성은 없을까. 기원전 그리스의 철학자인 ...
현장에 있던 야베 아즈사 JAXA 대변인은 당시 임무의 어려움에 대해 설명했다.“일본 하야부사 2호의 소행성 탐사 임무는 달 착륙보다 더 어렵습니다. 왜냐면 일단 소행성은 달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멀리 있기 때문입니다. 거기다 소행성은 달보다 엄청 작습니다. 때문에 당연히 중력도 약합니다. ...
중입니다. 하야부사 2호는 1호보다 수백만 배나 많은 류구 샘플을 보내왔습니다. 류구는 하야부사 1호가 탐사한 소행성보다 더 많은 물과 유기물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류구에는 상당수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 그래서 류구의 샘플을 분석하면 태양계 생성 및 진화 ...
실제로 보니 신기했고요. 인공 크레이터를 만들 때도 정말 놀랐습니다. 저희 연구원들은 하야부사 2호가 지름 2~3m의 크레이터를 만들거라 예상했는데, 실제로 생긴 크레이터는 지름이 15m에 달해서 정말 놀랐습니다 ...
소행성 다중 착륙, 소행성 인공 크레이터 형성 등과 같은 여러 기록들을 세웠어요. 현재 하야부사 2호는 채취한 샘플만 귀환 캡슐에 태워 지구로 쏘아 보낸 뒤, 다음 여정을 준비 중이랍니다. *스윙바이 :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우주선의 진로나 궤도를 제어하는 일 ...
인류 최초로 달에 발도장을 찍은 닐 암스트롱은 이렇게 말했어요.“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자국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만약 하야부사 2호가 말을 할 ... 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Part2. 하야부사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Part3. 하야부사 3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 ...
2018년 6월 소행성 류구 상공 20km에 진입했다. 하야부사2가 달성한 ‘세계 최초’들 하야부사2가 류구에서 하는 일들은 속속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았다. 우선 ‘한 소행성의 2개 이상 지점’에 ‘2개 이상의 로봇을 착륙’시켰다. 자체 개발한 로버인 미네르바(MINERVA)-Ⅱ, 독일·프랑스가 ...
기원과 물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2014년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호를 발사했다. 하야부사 2호는 2018년 6월 당시 지구에서 약 2억8000만km 떨어져 있던 소행성 162173 류구 상공에 도착했다. 류구는 바둑판 모양의 원시 소행성으로 태양계 형성 초기의 물질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하야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