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권위 있는 상들을 휩쓸었습니다. 리브 교수의 대표 업적으로는 ‘폰 노이만 엔트로피의 강한 부등식’의 증명이 있습니다. 양자 시스템에서 주어진 정보량 중 필요한 정보량을 뽑을 때 그 정보가 주어진 정보량보다 크지 않다는 증명으로, 데이터 통신에서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의 최대치를 ...
있었기에 가능했다. 마나베 교수가 재직하던 프린스턴대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은 1940년대에 컴퓨터 애니악(ENIAC)을 이용해 날씨를 예측할 것을 제안했다. 1950년대에 이르러 줄 챠니, 노르만 필립스 등 과학자는 날씨와 기후를 수치적으로 모의하는 대기 모델을 최초로 개발했고, 예측 실험에도 ...
폰 노이만이 1945년 처음으로 제안한 폰 노이만 구조는 입력되는 명령을 CPU가 ... 못하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된다. 폰 노이만 병목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AI를 연구할 때엔 가장 큰 한계로 작용한다.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 필요한 전력도 대규모 서버 운영이 필요한 AI ...
정리를 증명한 수학자 쿠르트 괴델, 컴퓨터 발전에 이바지한 수학자 폰 노이만과 앨런 튜링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IAS)에서 연구했다는 점입니다.IAS는 수학, 물리학, 생물학, 역사, 사회 과학 등의 연구자들이 강의나 연구비에 구애받지 않고 기초 학문을 연구하는 ...
‘네트워크’죠. 네트워크를 연구한 대표적인 사람은 미국 수학자 존 폰 노이만입니다. 노이만은 여러 대상 사이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나타내 수학적으로 분석했으며, 이를 응용해 현재 우리가 쓰는 컴퓨터의 구조도 만들었습니다. 알고리듬을 그림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처음 사용한 사람도 ...
논리적으로 증명한 사람이 바로 컴퓨터의 아버지, 미국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다. 노이만은 연구 끝에 1951년 ‘세포 자동자’라는 모형을 고안했다. 이 모형은 여러 개의 튜링 기계를 2차원 격자형태로 나열했다. 하나의 기계는 0부터 28까지 총 29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이웃한 기계들의 상태에 ...
살아있는 세포 자동자세포 자동자는 헝가리 출신 미국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 만든 개념으로, 색을 규칙에 따라 배열한 칸의 상태가 주변 칸의 상태에 따라 계속해서 바뀌는 모형이에요. 모든 칸의 상태가 동시에 바뀌기 때문에 이전 상태가 다음 상태를 결정합니다. 노이만은 이 개념을 이용해 주변 ...
TrueNorth)’, 인텔의 ‘너바나(Nervana)’ 등이 여기에 속한다. 현대식 컴퓨터(폰 노이만 방식)와 인간의 에너지 효율은 약 50만 배 차이난다. 인공신경망은 아직 인간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빠른 속도로 효율을 개선해나가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분야의 주도권을 잡을 AI 기업들이 속속 ...
수 있습니다. 인공생명의 아버지 폰 노이만미국 수학자 폰 노이만은 인공생명이라는 용어가 나오기도 전인 1940년대에 스스로 재생산(자기-재생산)할 수 있는 논리 모형을 만들 수 있다면 소설 속 괴물과 같은 인공생명체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논리 모형을 이론적으로 최초로 제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