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를 만들어 별도의 유전자 편집 없이 난자를 생산했다. 하야시 교수팀은 수컷 생쥐 체세포에서 난자를 만들기 위해 두 단계를 거쳤다. 우선 수컷 생쥐 꼬리 끝에서 섬유아세포를 채취하고 이를 역분화시켜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만들었다. 만들어진 iPS 세포는 XY 성염색체를 갖는다. 연구팀은 ...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뭘까요? 2006년 일본 교토대의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완전히 분화된 체세포에 단 네 가지 물질을 주입해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정상적인 분화과정을 거스르는 ‘역분화’를 거쳐 만들어진 이 세포는 배아줄기세포처럼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
말에서 난모세포를 채취한 다음, 세포핵을 제거했습니다. 그 자리에 프르제발스키 말 체세포의 핵을 넣어 대리모 말의 자궁에 이식하자, 프르제발스키 말의 클론(복제 개체)이 태어났습니다. 클론에는 ‘커트’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1972년 세계 최초로 샌디에이고 동물원에 냉동 동물원을 만들었던 ...
두 대라는 점입니다. 한쪽에 수컷, 다른 한쪽에 암컷, 이렇게 탑승하면 되겠군요.”체세포 분열을 하는 생명체들은 어디에다 탑승하냐고 물으려다가 말았다. 내가 그렇게 묻는다면 논점은 2대이냐 3대이냐로 흘러간다. ‘우주선을 받는다’는 제시안은 받아들인다는 전제가 깔리게 되어버리니 나는 ...
염소의 잡종인 대리모에게서 키워 클론을 만든 거예요.연구팀이 만든 셀리아의 체세포 복제본 782개 중 임신으로 이어진 것은 겨우 7개였습니다. 유일하게 태어난 한 마리는 폐의 이상으로 출생 10분을 넘기지 못하고 죽고 말았죠. 결과적으로 피레네아이벡스는 두 번 멸종한 동물이 되어버린 ...
실험이 성공한 이유는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 ‘갈세이프’였기 때문입니다. 돼지 체세포의 표면에 있는 당 분자인 ‘알파갈’이 면역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데, 갈세이프 돼지는 이 분자를 없앴지요. 이번 실험을 진행한 로버트 몽고메리 박사는 “이번 연구로 장기를 제한 없이 공급받을 수 ...
생물군으로 분류해야 할지 아리송한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죠. 변형균류는 자신의 체세포를 일부 떼어내어 생식세포로 만드는 ‘포자생식’을 합니다. 이 때문에 오랫동안 버섯과 같이 균계로 분류돼 왔지요. 그러다 먹이를 세포 안으로 끌어와 소화시키는 ‘식균작용’을 한다는 게 ...
정자가 결합해 생긴 수정란으로 만드는 ‘배아줄기세포’와 성인의 골수와 혈액 등의 체세포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지요. 배아줄기세포는 분화 능력이 뛰어나 원하는 조직과 장기로 키우는 데 유리해요. 하지만 만들기도 어렵고, 인간의 배아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
엄마도 진짜 여자가 아니었지만 법적으로 여자로서 살아왔다. 엄마는 여느 여자들처럼 체세포로 난자를 만들어 아빠의 정자와 결합시켜 나를 낳았고, 국립 인공포궁시설에서 태어난 나를 신생아 양육소에서 받아와 딸로서 길렀다. 이런저런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누구나 인생에 풍파가 없을 순 없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