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밍을 잘 잡아야 합니다. 풍선 모양으로 굳은 사탕은 그대로 먹을 수도 있어요. 제빵사들은 설탕의 이런 특징을 이용해서 꽃이나 동물 등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 ‘설탕공예’를 하기도 한답니다. *용어 설명●식품첨가물: 식품을 만들거나 가공,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질. 음식의 ...
라면과 빵도 마찬가지입니다. 라면은 이미 지난해 9월 가격이 올랐고, 7월 초에는 제빵 전문점 뚜레쥬르가 80개 제품의 가격을 올렸지요.이렇게 다양한 식품들의 가격이 오른 주요한 이유는 원재료 가격 상승 때문입니다. 원재료는 과자를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밀가루, 식용유, 설탕 등의 ...
퍼지며 밀려올 감동…! 생각만 해도 짜릿해요. 이 행복, 함께 누리고 싶다면, 저와 한번 제빵에 도전해 봐요. 그런데 인터넷 레시피를 찾아보면 죄다 오븐이 필요해서 일찌감치 포기했다고요? 이번 영상에선 오븐 없이 프라이팬만으로 커스터드 빵 만드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과정도 쉽고 간단하니 ...
1857년 프랑스 생화학자 루이 파스퇴르가 이스트의 존재를 처음 알렸어요. 이후 이스트는 제빵사만이 아니라 과학자도 사랑하는 미생물이 됐지요. 비결은 이스트의 생물학적 특징에 있어요. 이스트는 단순한 단세포 생물이라 키우고 연구하기 쉽거든요. 이뿐만 아니라 유전자를 핵 속에 숨겨두는 ...
케이크)’로 분류돼요. 보통 ‘효모’가 들어가면 제빵, 들어가지 않으면 제과지요. 제빵은 반죽할 때 효모를 넣고 기다리는 발효시간이 필요해요. 빵의 ‘폭신폭신함’과 ‘향’을 좌우하는 건 효모의 발효예요. 효모는 미생물로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는 반죽 속 당을 분해해 이산화탄소와 ...
제과제빵사에 도전해 보세요. 미래에는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할 거라고 하지만 제과제빵은 창의적인 작업이에요. 기본이 되는 반죽과 크림으로 본인만의 다양한 작품을 만드는 직업이기 때문에 걱정 없지요. 에끌레어가 어려워 보인다면 간단한 머랭쿠키나 마늘빵을 만들어 보세요. 머랭쿠키는 ...
Part5. 박기자의 도전! 에끌레어 만들기 도움★김자람(서울연희실용전문학교 호텔제과제빵전공 교수), 서용원(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김세헌(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강천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농업연구사), Rice University, 서진호(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Dinara Kasko(파티시에 ...
그럼. 하지만 발효 빵과 효모 과학을 연결시킨 기사에 더 집중해 줬으면.편 : 최고 제빵장의 빵 레시피 좀….(소곤소곤)쩡 : ….p. 132더 신나게!돌아온 휴가철 과학강연회2017년 사이언스바캉스p. 143‘협력의 공식’ ...
식문화는 대륙마다, 나라마다 다르다. 예로부터 빵은 주로 서양에서 주식으로 먹었다. 하지만 지금은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많은 ...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